김대중 대통령이 기아자동차와 아시아자동차를 공개경쟁 입찰하되
낙찰기준은 응찰가뿐만 아니라 종업원 고용문제, 경영능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것을 지시했다.

국내 업계는 이같은 방식이 포드에만 유리한 조건으로 작용해서는
곤란하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김원길 국민회의 정책위의장은 "9일 청와대 주례보고에서 기아는
인수희망업체의 운영자금 조달 및 마케팅 능력, 기술력과 자동차산업
경영능력, 종업원 고용문제, 협력업체의 장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김 대통령에게 보고했다"며 "김 대통령도 이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면서 산자부와 협조해 종합적인 방안을 마련할 것을 지시했다"고
밝혔다.

또 다른 정책위 고위 관계자는 "외국 컨소시엄은 외자를 들여올 수 있다는
것외에도 고용을 승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며 "포드등이 기아를 인수할
경우 일단 국내업체들이 경쟁에서 어려움을 겪겠지만 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현대 대우 삼성 등은 이같은 방안에 대해 "아직 구체적인 입찰방안이
공개되지 않아 입장을 밝힐 수 없다"면서도 "국내업체에게 역차별 조건이
돼서는 곤란할 것"이라는 조심스런 반응을 보였다.

이들은 "국내 메이커들도 기아 입찰이 단순한 "돈싸움" 형태로 진행되서는
안된다는데는 모두 공감한다"며 "단순 채점방식보다는 산업정책적인 시각이
평가에 포함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세계 자동차업계는 대형화로 치닫고 있다며 기아 처리는 국내 자동차산업
구조조정의 연장선상에서 생각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포드를 염두에 둔 무리한 빚탕감도 있어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포드가 마쓰다 인수 1년만에 3천명의 종업원을 내보낸데다
생산시설 감축과 해외 부품조달 확대를 통해 협력업체들도 심각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설명했다.

마쓰다의 개발력도 포드의 플랫폼 공유 방침으로 크게 떨어져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기아와 채권단은 입찰일정이 촉박하다는 국내업계의 반발을
수용해 입찰서류 마감일을 당초 8월 5일에서 20일께로 늦추기로 했다.

< 김정호 기자 jhkim@ 김남국 기자 nkkim@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7월 11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