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출대상기업이 확정됨에 따라 금융시장도 적지않은 영향을 받을 전망이다.

특히 퇴출대상기업과 거래하고 있는 하청 중소기업체들의 연쇄부도는
피할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또 퇴출기업의 금융권 여신이 17조여원으로 추산되고 있어 은행과 종금사
등 금융기관들도 상당한 타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물론 이에대한 파장을 최소화하기 위해 "적기대응조치"를 마련,
즉시 시행에 옮기기로 했다.

거래 중소기업들의 어음을 연장해주거나 신용대출로 전환해 주고 필요할
경우 한국은행의 자금공급을 늘려 파장을 조기에 진화하겠다는 의도다.

만일 정부의 조기진화대책이 성공할 경우 금융시장은 조속히 정상을 되찾을
전망이다.

그러나 진화대책이 무효로 끝날 경우 신용경색은 더욱 심화될 것이란
예상이 많다.

<> 금융시장 영향 =당장 일시적인 금리상승이 예상된다.

퇴출대상기업이 55개나 되는 만큼 관련업체에 대한 자금공급도 움츠러들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렇게되면 돈이 돌지 않는 현상이 더욱 심화돼 기업들은 연쇄부도에
직면하게 된다.

또 주가도 영향권안에 들어 있다.

퇴출대상기업 55개중 상장기업은 10개에 불과하다.

그러나 상호지보를 해준 기업들에게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게 뻔해 관련
기업의 주가가 타격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물론 퇴출기업명단이 발표된 18일 금융시장은 전반적으로 안정세를 보였다.

주가는 올랐으며 원화가치도 상승했다.

금리도 안정적이었다.

그러나 이는 엔화가치상승이라는 호재가 퇴출기업발표라는 악재를 충분히
상쇄하고 남을 결과라는 분석이 많다.

즉 퇴출기업이 아직 금융시장에 본격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다는
얘기다.

따라서 엔고효과가 사라지는 시점에 금융시장은 상당한 난기류에 휩싸일
전망이다.

<> 중소기업 연쇄부도 =가장 우려되는게 중소기업 연쇄부도다.

퇴출대상기업은 반드시 시장에서 쫓아낸다는게 정부의 의지다.

이렇게되면 대상기업과 거래하고 있는 중소기업들은 한계상황에 내몰리게
된다.

1차 협력업체는 물론 2차, 3차 중소기업도 타격을 받을게 분명하다.

중소기업들은 지금도 대출을 받을수 없어 어려운 처지다.

이런 상황에서 퇴출기업의 거래업체들이 무더기로 나가 떨어질 경우 연쇄
부도공포는 현실화될 가능성이 높다.

<> 금융기관 타격 =은행 종금사 등 금융기관들이 퇴출대상 55개업체에
빌려주고 있는 돈은 5조여원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헌재 금융감독위원장의 말을 빌리면 이 여신 대부분은 이미 부실여신으로
분류돼 있어 은행들에 당장 타격을 주지는 않는다.

그러나 정상여신으로 취급돼온 여신이 부실여신으로 분류돼야 하는데다
신용여신이 대부분인 종금사등의 경우 존망의 기로에 내몰릴수도 있다.

특히 이달말까지 BIS(국제결제은행)기준 자기자본비율을 6%이상 늘려야 하는
종금사들은 더욱 조급하게 됐다.

해태제과에 대한 출자전환을 결의한 것도 이 때문이다.

그러나 해태주력사들이 거의 퇴출대상에 포함됨에 따라 종금사의 동반부실화
도 불가피해졌다.

더욱이 회생가능기업을 정상화시키는 과정에서 금융기관들은 부채탕감 등의
손실을 감수할수 밖에 없다.

결국 이같은 영향은 은행구조조정을 더욱 앞당길 것으로 보인다.

<> 대책및 전망 =정부는 예상되는 부작용을 치유하기 위해 통화공급확대
라는 앰플주사를 놓기로 했다.

구체적으론 관련기업의 어음만기를 추석때까지 연장해 주고 보유어음을
신용대출로 전환토록 했다.

아울러 은행들의 중소기업지원을 확대하고 필요자금을 한은에서 지원키로
했다.

이 방법이 효과를 거두면 금융시장은 빨리 선순환기조에 접어들수 있다.

그러나 만일 혼선이 생기면 문제는 심각해진다.

중소기업부도가 이어지고 이에따라 금융기관의 동반부실화가 촉진될수도
있다.

과연 정부대책이 얼마나 먹혀들지에 따라 금융시장의 향방이 달려 있다.

< 하영춘 기자 hayoung@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6월 19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