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발전소는 겹겹의 안전장치를 갖췄음에도 불안감을 떠올리게 한다.

"히로시마 원폭" "죽음의 재" "버섯구름" "가공할 파괴력" 등등.

원자력이란 단어는 이런 쪽으로 사고를 유도한다.

훌륭한 발전수단이라는 점은 도외시되기 일쑤다.

아마도 첫발걸음을 잘못 디딘 데서 비롯된 현상인듯 싶다.

원자력이 세상에 알려진 동기는 엄청난 살상무기라는 점이었다.

원전 건설은 그래서 보통 힘든게 아니다.

무엇보다 부지확보가 어렵다.

적합한 지층구조를 갖춘 땅을 찾더라도 착공까지 상당한 기간이 걸린다.

주변주민들의 강력한 반대가 그 이유다.

IMF 한파는 이런 고정관념도 조금씩 바꾸는 모양이다.

한국원자력문화재단은 경북 울진군 북면 주민들을 변화의 징후로 제시한다.

울진원전 5.6호기를 조기에 착공해 달라고 요구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 사정은 이렇다.

울진원전 3.4호기는 현재 완공단계에 접어들었다.

공사장 근로자들로서는 일거리를 찾아 다른 곳으로 옮겨갈 수 밖에 없다.

소비력을 갖춘 유동인구수가 줄어든다는 것은 곧 해당지역 경기침체로
연결된다.

게다가 3.4호기를 뒤이어 지역경기를 이끌어 줄 것이라던 5.6호기는 힘을
잃었다.

IMF 한파로 자금조달이 어려워지고 전력소비도 줄어들면서 한전이 착공
시점을 늦췄기 때문이다.

계획대로 지난해 10월 착공됐다면 지역경제는 큰 충격을 받지 않았을 수
있다.

하지만 올해 10월로 늦춰지면서 공백이 생겨난 셈이다.

재단측에 따르면 지역 주민들은 지금 서명운동까지 벌이고 있다.

원전에 대한 지역정서가 우호적으로 바뀌었고 드러내놓고 원전 얘기를 할
수 있게 됐다고 한다.

5백~6백명 정도로 예상했던 참여주민 숫자는 이제 1천7백명으로 늘었다고
재단측은 밝혔다.

재단측은 원전 반대활동도 위축돼 이제는 거의 실적이 없다고 덧붙였다.

물론 원전 건설에 반대하는 소리는 여전히 높다.

"전원개발 예정지"로 지정 고시된 지역 주민들은 지정철회를 강력히 요구
하고 있다.

부산 효암리와 울산 비학리 등이다.

잠재위험성을 이유로 지정을 철회해 달라는 행정심판도 청구해 놓고 있다.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4월 14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