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통화기금(IMF) 경제체제하에서 실업자가 크게 늘고 소득이 감소하면서
가계씀씀이도 크게 줄어들고 있다.

작년 도시근로자의 가계수지동향을 보면 지난 80년대 초반 오일쇼크때를
방불할 정도로 수입과 지출여건이 악화돼 있다.

<>소득이 줄었다=작년 도시근로자의 월평균소득은 2백28만7천원으로 96년의
2백15만3천원에 비해 6.3% 늘어났다.

이는 지난 73년의 소득증가율 6.0%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또 물가상승분을 제외한 실질소득 증가율은 1.7%로 지난 81년(<>1.0%)이후
최저수준을 보였다.

특히 IMF체제가 시작된 작년 4.4분기에는 소득증가율이 0.6%, 실질소득
증가율이 마이너스 4.4%를 각각 나타내 기업구조조정에 따른 대규모 실직과
감봉의 여파를 실감케 했다.

<>소비도 줄었다=작년 월평균 소비지출은 1백45만8천원으로 전년
(1백39만5천원)에 비해 4.2% 증가, 지난 63년 통계작성이후 최저수준의
증가율을 나타냈다.

또 실질소비지출 증가율은 마이너스 0.3%로 오일쇼크를 겪었던 지난 80년
(<>6.0%)이후 처음으로 감소했다.

특히 작년 4.4분기의 명목소비지출 증가율은 사상처음으로 마이너스 0.8%를
기록했다.

<>흑자율은 높아졌다=가계소득에서 비소비지출을 뺀 가처분소득은
2백6만4천원으로 전년에 비해 6.1% 늘어났으며 가처분소득에서 소비지출을
제외한 흑자액은 61만5천원으로 전년보다 11.0% 증가했다.

이에따라 가처분소득에 대한 흑자액의 비율인 흑자율은 29.6%로 전년의
흑자율(28.3%)보다 오히려 좋아졌다.

이는 소득증가율이 크게 둔화됐음에도 불구, 소비지출증가율이 소득증가율
보다 더 낮아졌기 때문이다.

실제로 소득증가에 따른 소비증가수준을 나타내는 한계소비성향은 49.0을
기록, 96년의 77.5에 크게 못미쳤다.

<>교육비.보육료 지출이 줄었다=월평균 교육비지출은 14만9천원으로
전년보다 9.5% 증가하긴 했으나 지난 96년의 증가율 18.7%의 절반수준에
그쳤다.

특히 4.4분기에는 지난 80년(<>0.9%)이후 처음으로 줄어 마이너스 2.8%의
증가율을 나타냈다.

또 소득감소에 따른 가정용기기와 주방용품 등 가사용품지출도 전년보다
0.6% 감소했다.

<>외식비와 통신비는 늘고 있다=월평균 식료품비는 41만7천원으로 전년에
비해 5.1% 증가, 96년의 증가율 11.4%를 크게 밑돌았다.

그러나 외식비는 15만9천원으로 전년보다 13.6% 증가해 외식풍조는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PC통신 가입자와 휴대폰 보급이 확대되면서 통신비용도 크게 늘어났다.

한달 평균 통신비는 3만4천원으로 전년보다 20.0% 증가했다.

<조일훈기자>

(한국경제신문 1998년 3월 6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