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일 한국전력은 경북 울진군 북면 울진 원자력 3호기의 최초
발전개시행사를 가졌다.

한전은 이에 대해 "한국표준형 원전의 첫 발전"이라면서 발전사적
의미를 부여했다.

원자력발전을 놓고 아직 논란이 많지만 부존자원이 부족한 우리처지에선
불가피한 선택이라는 것이 일반적인 인식이다.

어차피 해야할 원자력발전이라면 기술의 토착화가 과업이랄수 있다.

한전은 이 "원자력발전기술의 국산화"를 한국표준형 원전의 개발로
구현하고 있다.

한국표준형이란 국내 원자력발전의 모델이 됨은 물론 북한원전과
더나아가 해외수출까지 통일규격화하겠다는 발상이다.

국내 원전 발전단계는 대개 3단계로 구분된다.

1단계는 70년대 외국기술에 1백% 의존하던 시기를 말한다.

고리 1,2호기가 그시대 작품이고 외국업체에 일관도급(턴키방식)으로
맡겼다.

2단계는 외국기술 습득단계로 설계는 해외에서 들여오고 건설은
국내에서 담당하는 방식이었다.

80년대 고리 3,4호기와 영광 1,2호기 울진 1,2호기를 지을때가 바로
이 단계다.

한국전력이 사업을 주도하면서 분야별로 해외업체에 분할 발주했었다.

90년대들어 설계 제작 시공 시운전을 한전과 국내 민간업체들이
전적으로 추진 가능하게됨으로써 3단계인 한국형원전시대가 열린
것이다.

이 최초의 작품이 울진 3호기다.

(한국경제신문 1998년 1월 14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