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MF와 실업문제 = IMF 구제금융으로 실업자가 급증하는 것을
수용할수 있느냐는 질문을 던졌다.

싫지만 어쩔수 없다는 응답자가 62.8%에 달해 대체로 수동적인
수용의사를 피력했으며 27.4%가 전적으로 수긍한다고 답변했다.

우리나라 국민들은 자의든 타의든 IMF시대를 피할수 없게된 만큼
어느 정도 고통을 분담하겠다는 자세를 보인 것으로 해석된다.

연령별로는 50대이상에서 전적으로 수긍한다는 응답(37.3%)이 많아
고생을 해본 장년층의 고통분담의사가 높았으며 연령층이 낮을수록 어쩔수
없이 고통을 감내하겠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반면 전혀 수긍할수 없다는 응답은 8.7%에 그쳤다.

특히 월평균소득이 1백만원이하인 저소득층은 전혀 수긍할수 없다는
응답이 16.3%로 다른 소득층에 비해 높았다.

<> IMF와 물가상승 = 경기침체와 소비자물가 상승에 대해서도
수긍할수는 없지만 IMF 구제금융의 필수조건이므로 어쩔수 없다는
대답(63.8%)이 많았으며 28.4%는 전적으로 수용의사를 나타냈다.

가계운영을 책임지는 여성층은 전적으로 수긍할수는 없지만(25.3%)
불가피하게 수용할 수밖에 없다(66.7%)는 반응을 보였다.

또 사무직 생산근로직 종사자들은 전적으로 수긍하는 응답자가 많았지만
학생층과 자유전문직은 불가피하게 수용해야 한다는 인식이 높았다.

한편 파국을 야기한 정책당국자들의 전적인 책임이므로 전혀 수긍할수
없다는 반응은 7.5%에 불과했다.

이중 월평균소득이 1백만원이하인 저소득층(11.3%)과 4백만원을 초과하는
고소득층(10.6%)에서 불만의 목소리가 높은 반면 중간소득층은 대체로
수용하겠다는 입장을 보였다.

<> IMF와 세율인상 = IMF와의 합의에 따라 어쩔수 없이 세율인상을
수용해야 한다는 응답자(64.1%)가 대부분이었다.

전적으로 수긍한다는 대답도 26.3%에 달했다.

반면 전혀 수긍할수 없다는 답변은 8.8%였다.

20대(11.1%)와 30대(10.4%)의 경우 수긍할수 없다는 응답이 많은 반면
40대이상의 중장년층은 국가적인 위기상황이므로 감내하겠다는 응답이
압도적이었다.

직업별로는 자유전문직(13.7%) 사무직(12.7%) 생산근로직(11.3%)
종사자들이 전혀 수긍할수 없다고 대답, 조세저항감이 강한 것으로
분석됐으며 대학교이상의 고학력층(10%)이 부정적인 성향을 나타냈다.

또 월소득 1백50만이하의 저소득층과 4백1만원이상의 고소득층에서
세금인상에 대한 불만감이 높았다.

<> 고통분담의사 = 새정부가 각종 개혁과제를 제시하면서 국민에게
고통분담을 요구할 경우 동참할 의향이 있느냐는 물음에 응답자의 90.8%가
그렇다고 응답, 새정부가 개혁정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상당한 힘을 얻을
것으로 조사됐다.

대체로 중장년층으로 올라갈수록, 학력수준이 높아질수록 긍정적인
대답이 많았다.

이에반해 응답자의 9%는 동참할 의사가 없음을 분명히 했다.

특히 월평균소득이 1백50만원이하인 저소득층은 13.3~13.5%가
고통분담에 부정적인 견해를 보였으며 4백1만원이상의 고소득층(8.5%)도
2백1만~4백만원 정도의 중간소득층(3.9~5.6%)보다 참여의사가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연령별로는 20대(10.7%)가 가장 낮은 호응도를 나타냈다.

직업별로는 생산직 자유전문직 종사자보다 사무직(10.8%)과
학생(10.3%)이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 고통분담 수용정도 = 실제로 고통분담이 필요하다면 얼마나 수용할수
있느냐는 질문이었다.

전체 응답자의 98.2%가 수용하겠는 입장을 보여 우리나라 국민의
대부분이 IMF구제금융의 고통을 감내하면서 시련극복에 함께 나설 준비가
되어 있음을 보여줬다.

이중 30.6%가 전적으로 수긍하고 있으며 67.6%는 싫지만 어쩔수 없다고
답했다.

여성(25.4%)보다는 남성(37%)이, 20대(25.9%)보다는 50대이상(40.1%)이
전적으로 수용할 뜻을 내비쳤다.

반면 실업증가 물가상승 세율인상 등 고통분담의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응답률이 높았던 중간소득층(월평균소득 1백1만~
4백만원)보다는 1백만원이하의 저소득층과 4백1만원이상의 고소득층이
적극적인 동참의사를 밝혀 실제 고통분담과정에서는 상반된 양상을 보일
것으로 예상됐다.

<> 소비절약.국산품애용과 위기극복 = 소비절약운동과 국산품애용운동이
경제위기 극복과 합리적 소비풍토 정착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73.6%가 크게 기여할 것으로 답했다.

반대로 별로 기여하지 못하거나 전혀 효과가 없을 것이라는 응답도
26.4%에 달했다.

고통분담에 대한 응답과 마찬가지로 연령층이 낮아질수록, 학력수준이
높아질수록 소비절약운동의 효과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 여성(24.2%)보다는 남성(29.2%)에게서 부정적인 대답이 많았다.

특히 자유전문직(42%)과 생산근로직(32.1%) 종사자들이 가장 비관적인
태도를 보였다.

<> 소비절약.국산품애용의 효과 = 소비절약운동과 국산품애용운동이
합리적 소비행위의 정착(45.5%)과 국제수지적자개선 및 외채개선(33%)에
가장 큰 효과를 거둘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 성별 직업 소득에 관계없이 한결같은 대답이었다.

연령층과 월평균소득이 낮아질수록, 학력수준이 높아질수록 이러한
응답률이 높았다.

특히 자유전문직과 월평균소득 1백만이하의 저소득층 가운데 합리적
소비행위가 정착될 것이라는 대답이 많았으며 사무직(36.7%)과 주부
(36.8%)는 국제수지 및 외채개선에 도움을 줄 것으로 내다봤다.

반면 국내 소비위축으로 인한 경기침체의 악화(12.2%)와 민족주의
감정유발로 인한 외국인의 한국에 대한 신뢰도 저하(9.3%) 등 부정적인
영향은 상대적으로 낮을 것으로 조사됐다.

자영업자의 경우 소비위축과 경기침체(19.2%)를 가장 걱정했으며
한국의 신뢰도 저하에 대해서는 생산근로직 종사자(23%)와 부산지역
주민(20.8%)의 우려가 높았다.

(한국경제신문 1998년 1월 1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