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건설시장 개방과 해외의 개발형사업 확대등 건설시장을 둘러싼 급격한
환경변화에 대비하기 위한 건설업체들의 국제 경쟁력 강화 노력이 본격화
되고 있다.

건설업체들의 이같은 움직임은 국제 수준의 경쟁력을 확보하지 않고는
생존자체가 불투명하다는 절박한 인식에 바탕을 두고 있다.

국내 건설업체들이 국제 경쟁력 강화를 위해 가장 심혈을 기울이는 분야는
건설산업의 소프트화 정보화다.

이에따라 그동안 우리 건설업체들의 취약분야로 지적됐던 설계및
엔지니어링부문을 강화하는 업체들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

특히 건설사업관리제도(CM)의 도입으로 대형 건설업체들을 위주로 CM
전담팀을 잇따라 만들고 관련 협회도 창설하는등 분주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건설업체들의 기술개발투자도 전략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현대건설은 지난해 4백10억원을 들여 경기도 용인시 마북리에
건설기술연구소를 개관하는 등 2006년까지 1조원을 투입, 설계및 감리능력을
높이기로 했다.

특히 현대는 최근 1백층높이의 초고층 빌딩에 대한 설계능력을 확보했으며,
대우건설 삼성물산건설부문 동아건설 등이 잇따라 기술연구소 문을 열고
선진 건설업체들을 따라잡기 위한 건설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와함께 해외수주 패턴을 고부가가치 위주로 전환하는 것도 국제 경쟁력
강화의 일환으로 추진되고 있다.

종전 단순 시공만 담당하는 도급공사가 주류를 이뤘으나 최근들어 기획
제안형이나 개발형 사업등이 주종을 이루는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국내업체들의 투자개발형 사업은 지난 94년 15건 9억달러 규모에서 지난해
엔 35건 34억달러로 급증하고 올해엔 45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는 등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해외공사 수주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면서 건설업체들간의 전략적 제휴를
통한 공동수주 확산도 눈에 띄는 현상이다.

이러한 사업패턴은 해외시장에서의 수주 경쟁력 강화는 물론 우리업체간의
출혈경쟁을 막을 수 있고 지역 다변화를 꾀할 수 있다는 바람직한 현상으로
풀이되고 있다.

이와는 별도로 국내 건설업체들은 외국업체와 제3국 동반진출로 국제
경쟁력을 강화를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국내시장 개방과 맞물려 분야별로 경쟁력 있는 외국업체와 기술및
업무제휴를 맺고 제3국에서 공동으로 공사를 수주하거나 개발사업을 잇따라
벌이고 있다.

이처럼 외국업체와의 해외시장 공동진출이 늘고 있는 것은 세계무역기구
(WTO) 출범으로 지난해부터 국제입찰대상 건설공사가 급증했기 때문이다.

기술력 시공력 시장장악력 등 취약한 분야를 상호 보완,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전략인 셈이다.

그러나 업계의 노력만으로 우리나라 건설산업의 경쟁력이 강화되는 것은
아니다.

업계 자체의 노력과 함께 제도적으로 개선돼야할 과제가 산적해 있기
때문이다.

우선 열악한 금융환경은 건설업계의 발목을 옥죄는 걸림돌이다.

지난해말을 기준으로 건설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GDP의 15%에 육박하는데
비해 건설업에 대한 금융권의 대출은 전체대출액의 9%를 넘지 못하는 수준
이다.

국민경제에 기여하는 만큼 대접을 받지 못하는 셈이다.

또 국내 건설업체들의 활발한 해외진출을 가로막는 각종 규제와 법규를
철폐하거나 완화하는 문제도 국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시급한 과제로
지적되고 있다.

해외수주의 발목을 잡는 규제로는 우선 해외부동산 취득대상을 당장 필요한
사업에만 국한시킨다는 점이 꼽힌다.

개발사업은 대개 몇년씩 걸려 단계별로 추진되게 마련인데 정부가 적시하는
필요한 시점, 즉 사업이 상당 수준 추진된 단계에서 토지를 구입하면 땅값
상승으로 투자비 비율이 높아지고 채산성도 그만큼 떨어질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또 외환관리법상의 투자제한규정도 국내업계의 경쟁력 강화에 발목을 잡고
있다.

특히 해외투자시 전체 금액의 20%이상을 국내에서 조달해야 한다는 투자
규정으로 사업추진에 애를 먹고 있다.

이는 국내기업들이 외국돈을 쓰고 싶어도 쓸수 없게 하는 규정으로
건설업체들을 단순 수주공사에만 매달리게 하고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부작용을 낳고 있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11월 13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