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괌=김준현 기자]

KAL 801편 여객기 추락사고 생존자의 후송이 발빠르게 이뤄지는 반면에
괌 현지 병원에 안치중인 사망자나 추가 발굴 시신에 대한 한국송환계획은
지지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사고수습을 서두르고 있는 대한항공 사고대책본부도 빠른 시일내에 일반
여객기를 개조하거나 화물기를 이용, 시신을 이송할 계획일 뿐 아직까지
구체적인 대책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괌 현지에서는 현재까지 69구의 시신을 발굴해 미해군기지내 냉동고에
안치해놓은 상태.

시신들은 의료진의 사망확인 절차를 마친 뒤 알루미늄관에 쌓여 드라이
아이스로 냉동 보관돼 있다.

괌 현지에 도착한 유가족들이 신원 확인 작업을 하고 있지만 대부분
형체를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심하게 불에 타 신원이 확인된 시신은 한
구도 없다.

시카고협약 등 국제규정에 따르면 항공기 사고의 경우 국지주의를 적용,
사고가 발생한 국가에서 사고조사의 주체가 되며 시신의 신원이 확인돼야만
국적 국가로 송환할 수 있다.

따라서 이번 사고의 경우에도 미국이 사고조사의 주체가 되며 우리 정부나
대한항공측은 사고조사에 참여할 수만 있을 뿐이다.

즉 우리가 빠른 시신 송환을 원한다고 해서 인도될 수 있는 것이 아니고
미연방교통안전위원회(NTSB)의 사고원인 조사와 신원 확인 작업, 미국정부의
시신반출 허가가 나야 송환이 가능하다.

이에따라 우리 정부는 신원이 확인된 시신부터라도 부분적인 송환이
이뤄지거나 시신을 우선 한국으로 인도해 우리측에서 신원확인 작업을 맡을
수 있도록 미국측에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괌당국은 앞으로 추락현장에서 더이상의 생존자가 나오지 않을 것으로
보고 구조작업에서 시신 발굴 작업으로 전환, 이날 오후부터는 추가 시신
발굴이 잇따를 것으로 보여 시신인도 교섭을 서둘러야 할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8월 8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