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보철강, '주인찾기' 새 국면] 포철 참여의사 표명 배경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난항을 거듭하던 한보철강의 제3자 인수가 새로운 국면을 맞았다.
포철이 동국제강과 공동인수 카드를 제시했기 때문이다.
이로써 이달초 1차 입찰에 이어 28일 2차 입찰도 유찰돼 미궁으로 빠질
뻔했던 한보철강의 새주인 찾기가 급진전될 전망이다.
일단 한보철강 인수에 포철과 동국제강이 먼저 손을 들었기 때문에 이들의
인수 가능성은 높은 편이다.
특히 공기업인 포철이 인수의사를 공식적으로 밝힌 것은 사실상 정부와
사전조율이 됐다고 볼수 있다.
이 경우 고로방식의 일관제철소 건설을 추진하고 있는 현대그룹의 계획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전망이어서 귀추가 주목된다.
물론 포철과 동국제강이 한보철강을 인수하는데 몇가지 난제가 남아 있긴
하다.
무엇보다 포철측이 제시한 자산인수방식을 채권은행단이 받아들일 것이냐가
관건이다.
채권은행인 제일은행 관계자는 "일단 포철측에서 인수의사를 밝힌 만큼
자산인수 가액등 조건을 검토해 수용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며 "이를 위해
조만간 채권은행단 운영위원회를 소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 다른 관계자는 그러나 "인수가액을 검토해 봐야 겠지만 자산매각 방식을
채택할 경우 6조원을 넘는 부채가 공중에 떠버려 이를 은행이 손실로 감수할
수 밖에 없다"며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처럼 채권은행단의 선택이 주목되고 있긴 하지만 결국 포철측의 카드를
받아들일 수 밖에 없지 않겠느냐는게 대체적인 견해다.
그밖에는 뾰족한 수가 없기 때문이다.
현대그룹의 경우 포철측이 인수의사를 밝힌 후에도 "한보를 인수할 수
없다는 기존 입장엔 변화가 없다"고 못박았다.
입찰 성사를 통한 한보 매각의 가능성은 여전히 희박하다는 얘기다.
따라서 채권은행단 입장에선 한보철강을 고철로 썩히느니 조금 손해를
보더라도 포철측 제안을 받아들일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한편 포철측이 그동안의 한보철강 인수 불가입장을 급선회한 배경에도
관심이 쏠린다.
이와 관련해선 현대그룹의 입찰참여 불가방침이 결정적으로 작용했다는게
정설이다.
포철은 당초 한보의 경우 현대가 인수하는게 가장 바람직하다는 입장이었다.
한데 현대가 1차에 이어 2차 입찰에도 불참키로 함에 따라 어쩔 수 없이
공기업인 포철이 나설 수 밖에 없었다고 설명한다.
특히 기아사태가 터지면서 현대그룹이 당장 기아자동차 방어에 정신을
쏟지 않을 수 없어 한보철강의 새주인 찾기가 오리무중으로 빠진 것이
포철을 움직이게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상황에서 포철측이 인수 방식을 자산인수 쪽으로 제시한 것은
한보철강 인수에 따른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한 묘책으로 받아 들여지고
있다.
우선 주식을 인수해 법인을 통째로 떠안을 경우 나중에 새로 튀어 나올 수
있는 돌발적인 채무나 정태수 일가의 경영권문제 등 법적시비의 소지가 크다.
또 법인을 인수하면 채무 탕감이나 자산가치의 할인 등이 정부의 지원으로
해석돼 통상마찰의 소지도 있다.
그러나 자산을 인수하는 경우 현존하는 부동산과 기계 장치등만의 가치를
평가해 사는 것이어서 통상마찰도 피하고 향후 경영권 시비등도 원천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포석이라는게 업계의 해석이다.
< 차병석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7월 29일자).
포철이 동국제강과 공동인수 카드를 제시했기 때문이다.
이로써 이달초 1차 입찰에 이어 28일 2차 입찰도 유찰돼 미궁으로 빠질
뻔했던 한보철강의 새주인 찾기가 급진전될 전망이다.
일단 한보철강 인수에 포철과 동국제강이 먼저 손을 들었기 때문에 이들의
인수 가능성은 높은 편이다.
특히 공기업인 포철이 인수의사를 공식적으로 밝힌 것은 사실상 정부와
사전조율이 됐다고 볼수 있다.
이 경우 고로방식의 일관제철소 건설을 추진하고 있는 현대그룹의 계획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전망이어서 귀추가 주목된다.
물론 포철과 동국제강이 한보철강을 인수하는데 몇가지 난제가 남아 있긴
하다.
무엇보다 포철측이 제시한 자산인수방식을 채권은행단이 받아들일 것이냐가
관건이다.
채권은행인 제일은행 관계자는 "일단 포철측에서 인수의사를 밝힌 만큼
자산인수 가액등 조건을 검토해 수용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며 "이를 위해
조만간 채권은행단 운영위원회를 소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 다른 관계자는 그러나 "인수가액을 검토해 봐야 겠지만 자산매각 방식을
채택할 경우 6조원을 넘는 부채가 공중에 떠버려 이를 은행이 손실로 감수할
수 밖에 없다"며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처럼 채권은행단의 선택이 주목되고 있긴 하지만 결국 포철측의 카드를
받아들일 수 밖에 없지 않겠느냐는게 대체적인 견해다.
그밖에는 뾰족한 수가 없기 때문이다.
현대그룹의 경우 포철측이 인수의사를 밝힌 후에도 "한보를 인수할 수
없다는 기존 입장엔 변화가 없다"고 못박았다.
입찰 성사를 통한 한보 매각의 가능성은 여전히 희박하다는 얘기다.
따라서 채권은행단 입장에선 한보철강을 고철로 썩히느니 조금 손해를
보더라도 포철측 제안을 받아들일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한편 포철측이 그동안의 한보철강 인수 불가입장을 급선회한 배경에도
관심이 쏠린다.
이와 관련해선 현대그룹의 입찰참여 불가방침이 결정적으로 작용했다는게
정설이다.
포철은 당초 한보의 경우 현대가 인수하는게 가장 바람직하다는 입장이었다.
한데 현대가 1차에 이어 2차 입찰에도 불참키로 함에 따라 어쩔 수 없이
공기업인 포철이 나설 수 밖에 없었다고 설명한다.
특히 기아사태가 터지면서 현대그룹이 당장 기아자동차 방어에 정신을
쏟지 않을 수 없어 한보철강의 새주인 찾기가 오리무중으로 빠진 것이
포철을 움직이게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상황에서 포철측이 인수 방식을 자산인수 쪽으로 제시한 것은
한보철강 인수에 따른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한 묘책으로 받아 들여지고
있다.
우선 주식을 인수해 법인을 통째로 떠안을 경우 나중에 새로 튀어 나올 수
있는 돌발적인 채무나 정태수 일가의 경영권문제 등 법적시비의 소지가 크다.
또 법인을 인수하면 채무 탕감이나 자산가치의 할인 등이 정부의 지원으로
해석돼 통상마찰의 소지도 있다.
그러나 자산을 인수하는 경우 현존하는 부동산과 기계 장치등만의 가치를
평가해 사는 것이어서 통상마찰도 피하고 향후 경영권 시비등도 원천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포석이라는게 업계의 해석이다.
< 차병석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7월 29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