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역 (내무부) =지역종합정보센터를 부산 대전 경북 경남등 4개
광역자치단체에는 지자체와 민간이 공동참여하는 제3섹터방식으로,
시.군.구별 10개 기초자치단체에는 시.군전산실을 중심으로 설립한다.

중소기업 지원, 농산물 유통등 지역정보화 시범사업을 지원한다.

<> 교육 (교육부) =초등학교 4~6년, 중.고 전학년 전자교과서및 교육용
SW개발 등 교육정보자료를 개발, 보급한다.

정보기술활용 교육강화를 위해 초.중.고교에 정보교육장학지침서를
개발.보급하고 정보교육담당 교원(전체 교원의 25% 대상)을 양성한다.

<> 산업 (통산부) =업종별 통합조달운영정보시스템(CALS)및 전자상거래(EC)
표준화 및 근거법률 제정을 추진한다.

특허기술정보센터에 상표.심판정보검색시스템등을 구축, 인터넷을 통해
특허정보를 제공하고 중소기업청을 중심으로 중소기업통합정보시스템을
구축한다.

<> 환경 (환경부) =유해화학물질에 관한 정보를 통합관리해 인터넷을
통해 관련기관 전문가 일반인에게 제공한다.

효율적인 폐기물재활용정책 수립및 관련산업을 지원할수 있는 시스템과
환경분야 연구논문 및 기술정보를 DB화한 환경연구정보시스템을 개발한다.

<> 보건복지 (복지부) =생활보호정보관리시스템을 구축하고 장애인
재활정보, 아동보육종합정보서비스등 사회복지정보서비스사업을 추진한다.

식품 의약품및 의료용구의 안정성.유효성및 유통에 관한 DB를 구축하고
응급의료 혈액유통관리등 시범사업을 확대한다.

<> 산업인력 (노동부) =고용정보종합서비스망을 구축하고 장애인
고용정보시스템을 확충한다.

산재의료관리원의 진료관리, 원무관리 전산화, 진료비 심사.청구업무의
자동화등 산재의료정보시스템을 확충한다.

<> 사회간접자본 (건교부) =수도권에 대한 지능형교통정보시스템을
실시설계하고 일부지역에 교통량측정물을 설치한다.

국가지리정보체계(GIS)를 위한 지형도의 전산화사업을 완료한다.

자동차검사업시스템을 전국에 확산하고 자동차종합정보망을 구축한다.

<> 과학기술 (과기처) =기존 연구전산망을 98년까지 주요기간망을
45M~1백55 Mbps 로 고도화한다.

원격공동연구및 실험시스템을 개발하고 과학기술 원문자료 검색할수
있는 전자도서관을 구축한다.

<> 정보보호 (안기부) =전자상거래 관련 전자서명제도를 마련하고 사생활
보호를 위한 합리적 암호사용제도등 법.제도를 정비한다.

암호알고리즘등 정보보호 핵심기반기술을 전략적으로 개발한다.

<> 입법 (국회사무처) =위원회자료, 국감요구자료, 정부제출자료등을 DB로
구축한다.

국회 본회의및 각 위원회 방송자료를 DB로 구축, 관계부처와 국민에게
제공한다.

국회회의록등 13개 입법정보 및 문헌정보를 디지털화한다.

<> 금융 (한국은행) =기존 신용카드 직불카드기능을 통합한 IC카드형
전자화폐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자연재해 대형사고에 의한 금융정보망
장애에 대비, 백업센터 구축계획을 수립한다.

< 정건수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6월 4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