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학자들은 20세기가 육지의 세기였다면 21세기는 해양의 세기가 될
것으로 예견하고 있다.

근대산업사회의 발전과정을 돌이켜 보면 인류는 육상의 자원을 무한한
것으로 보고 양적인 성장위주의 개발정책을 추구해 왔다.

그 결과 인구팽창 자원부족 식량난 도시과밀 환경오염 등 현재 인류가
겪고 있는 제반 경제 사회적 문제가 야기됐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마지막 대안으로 세계 각국은 해양의
개발과 보전정책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해양화의 물결은 이미 산업 전반에
걸쳐 그 영역을 넓혀 가고 있다.

지난 84년 유엔에 투자등록을 마친 하와이 동남방 2천5백km 지점
7만5천평방km 광구에는 약 1억t의 망간단괴가 부존되어 있다.

이를 현재가치로 환산하면 총 25조원에 달한다.

상업생산이 이루어질 2010년부터 매년 3백만t을 생산할 경우 연간
8천4백억원의 매출액과 4천억원의 순이익을 창출할 수 있다고 관련연구기관
은 설명하고 있다.

현대물류의 중심 수송수단인 컨테이너 선박도 매우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60년대 1천TEU급에 불과하던 선박은 금년초에는 삼성중공업에서 8천TEU급을
개발할 정도로 급속히 대형화됐다.

해면어업량은 과거 40년간 약 5배의 성장세를 보였다.

수산물 생산량은 연평균 6%씩 증가, 인구증가율보다 3배 정도 빠르게
늘어나고 있고 선진국일수록 해산물 소비가 더욱 증가하고 있다.

인류의 주거공간도 바다쪽으로 계속 이동해 전세계 50개 대도시의 3분의 2
가 해안도시에 해당한다.

또한 화석에너지의 대체공급원으로서 해양에너지 개발이 점차 가시화되고
있으며 미국의 온도차 발전과 프랑스의 조력발전, 일본의 파력발전 등은
이미 실생활에 응용되고 있다.

이렇듯 바다는 풍부한 식량 광물 에너지 등 자원의 보고일 뿐 아니라 국가
경제 발전의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다.

지금 우리가 처해있는 상황은 19세기말과 유사하다.

주변 4대강국과 개방적 관계를 맺게 된 것이나 이들 국가가 나름대로
주도권을 잡기 위해 각축하는 상황이 그러하다.

그때도 동아시아에 몰려온 세계적 변화의 물결을 제대로 알고 그것을 잘
이용했더라면 20세기 우리민족의 역사는 완전히 새로운 모습으로 그려졌을
것이다.

그러나 개항은 곧 망국이라는 논리에 밀려 우리의 개항과 개혁은 자주적
으로 이뤄지지 못했으며 결국 타의에 의해 피동적으로 개화기에 들어설 수
밖에 없었다.

우리나라의 근대화과정을 되돌아 볼 때 일제 지배하에 들어가기 전의
개항기가 제1의 전환기였다면 해방이후 민족국가 건설과 산업화 시대로의
진입은 제2의 전환기였고 문명을 이끌어 갈 일류국가로 향하는 현재는 제3의
전환기 또는 제2의 개항기로 볼 수 있다.

전환기에 요구되는 국가전략 패러다임은 과거와 달라야 하고 또 다를 수
밖에 없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제2의 개항기를 맞은 우리는 첨단과학기술을 기반으로 해양세기를 준비하며
지방화시대의 전개에 따라 구조를 개선해야 하는 등 많은 과제를 안고 있다.

특히 이제 해양의 이용이 자유롭던 시대가 마감되고 본격적인 해양영토
분할과 확장을 위한 경쟁시대로 진입하고 있다.

따라서 해양세기의 주도적 역할을 수행하려면 국경없는 해양산업시장의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 육지의 개발한계에 따라 바다 이용계획을 합리적으로 수립해야만 국토의
균형적인 발전을 이룰 수 있다.

이와함께 남북한의 통일을 대비한 해양의 통합적 발전 또한 준비해야 한다
는 것이 전문가들의 일치된 견해다.

우리에게 닥친 이같은 현실은 위기상황이라고 할 수 있지만 이를 극복해야
만 진정한 해양강국을 건설할 수 있다.

국경없는 경쟁시대에는 바다를 어떻게 이용하는가에 따라 국민의 미래와
국운이 결정되기 때문이다.

제2의 개항기를 맞은 지금은 해양중심적 세계관을 갖고 풍요롭고 윤택한
21세기 해양부국 창조를 위해 매진해야 한다는 국민적 공감대가 필요한
시점이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5월 30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