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국립사회복지연수원 김현숙 부교수는 "사회변화에 따른 육아시설
사업 개선에 관한 연구보고서"를 통해 지난해 6~10월 전국 22개 육아시설
(고아원) 책임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해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교
밝혔다.
조사에 따르면 시설당 수용아동은 평균 67.9명이었는데 이중 부모가 모두
있는 아동은 8.7명, 어머니만 생존 11.1명, 아버지만 생존 13.1명 등 전체의
48.1%는 부모중 어느 한쪽이라도 살아있다.
또 부모없이 할머니 등 기타의 친척이 있는 경우가 8.1명이었으며
연고자가 전혀 없는 아동은 평균 21명으로 전체의 30.7%에 불과했다.
편부나 편모가 된 원인으로는 사별이 32.6%인 반면 부모의 이혼(22.4%),
별거(14.8%), 가출(30.3%) 등이 대부분이었다.
또 부모나 연고자가 전혀 없는 아동들도 부모가 사망(18%)하거나 아동이
가출(12.4%)한 경우는 적은 반면 부모의 유기(40.5%)나 가출(29%) 등
부모들이 자녀에 대한 책임과 의무를 저버린 경우가 대부분을 차지했다.
이처럼 부모 등 연고자가 있는 아동들이 전체의 70%가량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육아시설의 책임자들중 61.9%는 아동과 부모와의 관계유지가
필요하다는 적극적 태도를 보인 반면 관계유지를 "막을 수는 없다"는 소극적
자세가 33.3%였으며 "안된다"는 반응은 4.8%에 지나지 않았다.
관계유지가 필요하다고 여기는 시설 책임자 중에서는 실제 양측이 원할 때
수시로 만나게 해준다는 경우가 63.6%로 가장 많았으며 그다음 방학중에만
(13.6%), 명절 등 특별한 날에만(9.1%), 정기적으로(4.5%)의 순이었다.
< 조주현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4월 23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