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류제조회사가 술을 팔면서 법규와 달리 주류운반과 빈술병회수책임을
전가하고 있다며 주류도매업계가 제도개선을 요구하고 나섰다.

한국수퍼체인협회는 지난 6일 열린 총회에서 이같은 문제를 논의하고
빈술병수거를 위해 주류제조회사가 공동으로 빈술병수거전문회사를 설립해
운반을 대행토록하는 개선방안을 관련부처와 주류회사에 건의키로 했다.

또 서울종합주류도매협회와 5개 주류유통관련단체가 지난해 9월부터 건의
한대로 도매주류제조회사가 주류운송을 대행할 경우 주류운반비를 <>맥주
2백% <>소주3백%씩 각각 인상해 달라고 요구하고 빈술병운반비도 주류
운반비와 같은 수준으로 지급해달라고 건의했다.

수퍼체인협회등 주류도매업계는 주류제조업체에서 상품을 살때 보증금을
미리 예치하고 다시 소매업계에서 빈병과 프라스틱박스를 수거할때는 별도의
보증금을 지급한후에 제조업체에 반납해야 보증금을 되돌려 받도록 돼 있다.

이에 따라 1개도매업체당 프라스틱박스는 4천만원,빈술병은 1천5백만원씩
자금이 묶여 있는 실정이다.

수퍼체인협회는 또 이같은 주류공급관행이 대기업인 주류제조회사가 영세
기업인 유통업계에 대해 우월적지위를 남용한 불공정거래의 소지가 있다고
보고 공정거래위원회에 신고하는 방안도 강구하기로 했다.

주류제조업체관계자들은 "유통비용을 제조업체가 떠앉을 경우 일반
소비자가격인상이 불가피하다"고 지적하고 "주류가격인상은 국세청의
가격창구지도를 받고 있는 실정이라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말했다.

<안상욱기자>

(한국경제신문 1997년 3월 12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