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익악기가 지난 23일 최종 부도처리된 이후 처리방식이 제3자 인수로
가닥을 잡아가고 있다.

은행 보험 종합금융 등 금융기관들은 삼익악기 부도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이 회사의 제3자 인수를 내심 바라면서 채권회수가능 금액을 파악
하느라 분주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은행중 삼익악기에 가장 많은 대출(492억원)을 해준 외환은행은
"삼익악기는 주거래 대상기업이 아니다"며 "우성건설및 건영과는 달리
은행이 주도적으로 나서서 처리할수 없는 상황"이라는 입장이다.

그래서 외환 한일 동남 신한 부산 등 채권은행들은 이날 눈치만 보고 있는
모습을 보였다.

처리방안이 될수 있는 "법정관리"이나 "제3자 인수"에 대해서도 "삼익악기
의 의견이 확인돼야 하지만 아직 회사측으로부터 어떤 의견도 받지 못했다"
고 이들 은행들은 밝혔다.

그러나 외환은행 관계자는 "법정관리 신청과 관계없이 회사를 갱생시키는
방안으로 회사가 주도적으로 제3자 인수자를 물색해오면 이에 적극적으로
응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제3자 인수가 이뤄질 경우 영창악기가 유력한 것으로 업계는 예상하고
있다.

<>.종금사 중에는 삼삼종금이 어음매입을 통해 삼익악기에 200억원의
여신을 해주었다.

삼삼종금은 그러나 삼익악기의 건물등 담보를 충분히 확보했다고 밝히고
있다.

또 제일종금은 10억원의 어음을 중개해주었으나 무담보매출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리스사 중에는 한일 동남리스 등 12개사가 200억원에 가까운 리스자금을
제공해 무더기 부실여신이 불가피해졌다.

<>.보험업계는 삼익악기및 계열사에 모두 327억3,000만원을 대출했으나
대부분 부동산등을 담보로 잡고 있어 파장은 크지 않은 것으로 분석.

대한.한국보증보험 등 보증보험사들은 200억여원을 삼익악기에 지급보증
했으나 부동산과 정기예금 등을 담보로 잡은데다 재보험에 든 것을 감안하면
회수가 어려운 악성채권은 10억-20억원에 불과할 것으로 추정.

생보사 중에선 조선생명이 26억원의 무보증 사모사채를 사는 방법으로
대출, 피해가 가장 컸다.

한국생명은 81억원을 삼익악기와 계열사에 대출했으나 신용대출 2억원과
삼익악기발행의 무담보 기업어음(CP) 매입액 20억원을 뺀 나머지 59억원은
지급보증을 받아 회수가능하다고 밝혔다.

국제화재는 지급보증 조건으로 20억원을 각각 삼익악기에 빌려준 것으로
나타났다.

< 금융팀 >

(한국경제신문 1996년 10월 25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