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레기대심리로 인해 투자자들이 장기채 투자를 기피, 국내 채권의
만기구조는 여전히 단기중심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따라 기업들은 빈번하게 차환발행을 해야하는등 자금조달비용이
가중되고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한국은행은 18일 발표한 "우리나라 회사채시장의 현황과 과제"를 통해
만기 5년이하의 단기채가 채권 총발행액의 95%이상을 차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반면 5년이상의 장기채비중은 <>92년 7.7% <>93년 5.1% <>94년 4.6%
<>95년 4.2%로 점차 낮아지고 있다.

한은은 미국의 경우 5년미만의 단기채비중이 40%에 그치고 일본도 30%
정도에 불과하다고 설명했다.

한은은 투자자들의 인플레기대심리외에 보증기관들이 금리변동에 따른
위험부담을 고려, 장기채권에 대한 지급보증을 회피하고 있는 것등이
단기중심의 만기구조를 초래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당국이 채권물량조정을 할 때 3년만기를 기준으로 1년초과시마다
평점을 가점하고 있고 증권감독원의 유가증권신고서 심사에서도 만기
3년이상의 회사채발행만 허용하는등 만기의 장기화를 도모하고 있으나
실효성은 크지 않다고 분석했다.

한은은 또 담합에 의한 회사채발행주선사례가 성행함에 따라 증권사간
공정경쟁 관행이 정착되지 못한 채 발행물량이 발행기업으로 리턴되는등
비효율적인 요소가 많아 기업의 부담을 가중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성태기자>

(한국경제신문 1996년 5월 18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