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년대 들어 물가가 서민들이 많이 쓰는 부문에서 더 올라 서민층의 물가
부담이 상대적으로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경제사회연구원은 3일 통계청의 "도시가계조사"를 바탕으로 43개
소비항목에 대해 계층별 물가 가중치를 산정한 결과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최저소득층의 경우 91~95년 연평균 6.39%의 물가상승률을 경험한 것에 비해
최고소득층의 경우는 6.03%에 머물렀다.

특히 94년에는 최저소득층 기준으로 6.81%의 높은 물가상승률을 기록한
반면, 최고소득층의 경우 5.89%에 머물러 약 1%의 격차가 나기도 했다.

이는 저소득층의 소비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품목들의 가격상승폭이
컸기 때문이다.

저소득층은 주로 집세(전세,월세) 기초식료품(곡류,채소.해조류) 공공요금
부문에서 고소득층보다 물가 가중치가 높은 소비구조를 갖고 있어서 상대적
으로 높은 물가상승을 체감한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만성적인 고물가가 나타나고 있는 공공요금과 채소류의 물가가 대단히
불안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앞으로도 저소득층의 물가고는 한층 심화될
것으로 전망됐다.

한편 고소득층의 가중치가 높은 개인교통 교양.오락 장신구등의 물가는
대체적으로 안정세를 보여 물가상승의 체감정도가 낮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저소득층의 경우 전세나 월세가 총지출의 13%, 곡류 8.9%, 채소류 5.0%,
공공요금 4.2%를 차지하는데 반해 고소득층은 전세(4.2%) 곡류(4.7%) 채소류
(2.8%) 공공요금(2.9%)등이 저소득층에 비해 차지하는 비중이 낮아 상대적
으로 물가상승에 따른 체감정도가 작았던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해 품목별 물가상승률은 전세가 3.6%, 곡류 3.7%, 공공요금 10%,
교육 12.8%, 개인교통 1.8%등으로 교육부문을 제외하고는 저소득층위주
품목의 물가상승률이 높았던 것으로 조사됐다.

<박영태기자>

(한국경제신문 1996년 5월 4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