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국당은 내달 7일 전국위원회를 소집, 당총재인 김영삼대통령이 지명
하는 새대표에 대한 임명동의절차를 거친후 곧바로 사무총장등 당3역을
포함한 당직개편을 단행한다.

새로 선보일 신한국당의 지도체제는 내년의 대통령선거를 대비하는 막중한
임무가 주어질 뿐아니라 차기 대권후보가 누가 될것인가를 점쳐볼수 있는
단초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벌써부터 정치권의 비상한 관심이 쏠리고 있다.

지난 8개월여동안 당을 무난히 이끌어 왔고 15대총선에서도 기대치 이상의
성과를 올린 김윤환대표를 사실상 "경질"하는 것 자체가 김대통령의 집권
후반기 정국운영구상의 일단이라는 점에서도 후임대표는 물론 사무총장에
어떤 인물이 기용될지에 촉각이 곤두설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새지도체제는 현재까지는 김대통령이 대표에는 "관리형 인물"을, 사무총장
과 원내총무에는 "실세 중진"을 기용한다는 방침을 세웠을 것이라는 정도만
점쳐지고 있을 뿐이다.

일각에서는 그러나 총선이후 계파구분이 무의미해진데다 김대통령의 인사
스타일을 감안할 때 "의외의 인물"이 발탁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특히 대표에 누가 발탁될것인가가 관심이 되고 있는 것은 새대표에 기용
되는 인물은 지금까지의 일반의 예상대로라면 차기대권 도전에서 탈락할 수
밖에 없다는 점에서다.

김대표가 물러나면서도 다소 여유가 있는 것이나 이회창전총리 캠프가
혹시 이번에 대표로 기용되지나 않나 "우려"하는 것은 이같은 이유에서다.

당내에서 자체적인 세가 거의 없는 이전총리의 경우 자칫 과도형으로만
"이용"될 가능성을 경계하고 있다.

당안팎에서는 이런저런 가능성을 두고 얘기들이 많지만 대표위원에는
이홍구전총리와 김명윤고문, 이만섭의원등이 유력한 것으로 보고 있다.

또 사무총장에는 서석재 당선자와 서청원의원등이, 원내총무로는 신경식
박희태 강재섭의원등의 발탁을 예상하고 있다.

이와 함께 정책위의장은 이상득 강경식 서상목의원등으로 압축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국회의장은 다선우선 원칙에 따라 7선의 신상우 오세응의원중 한사람이
맡을 것이라는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대표로 거명되는 당내인사중 이홍구전총리는 경륜과 친화력 참신성등
"3박자"을 고루 갖춰 "관리형 인물"에 가장 적합하다는 평을 받고 있다.

반면 민주계 원로인 김고문의 경우 당 장악은 쉽지만 세대교체분위기와는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다.

TK(대구.경북)배려 차원에서 거론되는 이만섭의원에 대해서는 민주계의
거부감이 크다.

이회창전총리는 개혁성 부각에는 유리하지만 권력누수를 막기 위해 내년초
까지는 대권논의를 자제해야 한다는 여권핵심부 의중과 정면 배치된다.

당3역중 대권후보경선을 앞두고 조직과 자금등 "살림"을 총괄하게될
사무총장의 물망에 오르고 있는 서석재당선자의 경우 "상도동의 맏형"이자
조직관리에 뛰어나다는 점이 강점이다.

반면 서청원의원은 정무1장관등을 역임하면서 대인및 대야관계가 원만하고
여권내에서는 흔치 않게 수도권에서 4선에 성공한 점이 높게 평가된다.

이같이 민주계 실세총장 기용을 전제로 할때 "민주계 총장-민정계 총무"
라는 계파안배구도가 될 이뤄질 것인지도 관심사다.

또 현재까지 거론되고 있는 인사들외에 김대통령이 "강삼재 카드"에서
처럼 파격인사를 단행할 경우 민주계의 3선의원 가운데 한사람이 "중책"을
맡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이미 총장을 지낸 김덕룡의원을 제외하고 민주계의 3선인 백남치
김운환의원에게도 시선이 모아지고 있다.

원내총무의 경우 율사출신인 국민회의 박상천총무와 서울대법대출신인
자민련 이정무총무에 맞서 박희태의원을 기용해야 한다는 당내 여론도
있으나 적진에서 승리한 신경식 강재섭의원과 수도권에서 4선고지에 오른
이세기 김중위 이성호의원등도 물망에 오르고 있다.

율사출신의 강의원은 전문성과 정치감각이 뛰어나다는 평이나 지난해
5.18특별법제정 당시 기권한 점이 흠으로 지적된다.

반면 신의원은 민정당과 민자당 시절 원내부총무를 엮임한 경력이 강점으로
꼽힌다.

국회의장으로는 대체적으로 다선위주의 인선원칙이 크게 흔들리지 않을
것이라는 시각이 지배적이기 때문에 7선의 신상우 오세응의원등이 거명되고
있다.

그러나 국회의장은 김명윤당선자 몫이라는 설도 만만찮다.

< 이건호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4월 29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