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티미디어 PD" "컴퓨터 디자이너" "도시기획평가사" "운동처방사".

지난달 27일 노동부 산하 중앙고용정보관리소가 발간한 "한국직업사전"
개정판에 등장한 우리사회의 신종 직업들이다.

불과 몇년전만 하더라도 찾아볼 수 없었던 "신조어"다.

이 개정판에서 가장 눈에 띄는 부분은 기술혁신과 정보화의 여파로 연구
개발 전산정보처리 사업서비스 등의 분야에서 신종 직업이 집중 출연한 점.

이른바 첨단정보화시대에 들어서면서 유망직종 판도가 바뀌고 있다.

지식정보산업,감성 지향의 문화산업 등이 빠른속도로 성장함에 따라 이
흐름에 맞는 정보통신 레저 생활문화 환경 건강 관련 분야의 직종이 21세기
소프트사회에서 각광을 받을 것이란게 직업전문가들의 예측.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21세기 우리사회를 이끌 중산층으로 부상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각 분야의 유망직종들을 알아본다.

<> 정보통신 =화이트칼라도 블루칼라도 아닌 논칼라(Non-Collar) 세대들이
뛰는 대표적인 분야다.

인터넷 등을 통해 고객의 요구에 따라 필요한 정보를 발굴해 제공하는
정보검색가, 정보를 분석 가공해 최고경영자 자문역할을 해주는 정보
컨설턴트, 컴퓨터 통신망에 "포럼(토론장)"을 열고 그 포럼을 통해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주업무인 정보제공(IP)관리자, 컴퓨터및 네트워크 자료검색
방법을 설계하는 정보시스템 분석가, CD롬 타이틀 기획과 개발을 담당하는
멀티미디어 PD 등이 이 분야의 선두주자로 꼽히고 있다.

<> 첨단기술 =생산과정을 컴퓨터화하고 로봇을 제작 통제하는 시스템
엔지니어, 광학재료 파인세라믹스 등 신소재를 이용한 부품개발및 활용에
종사하는 과학자, 바다밑 광물을 캐내는 해양 채광업이나 해저고고학
해저탐사업자, 우주항공사 조종사및 우주선에서 쓸 전자장비 약품을 만드는
전문가등이 유망신직종으로 부상하고 있다.

<> 레저.생활문화 =인테리어및 패션 디자이너, 교육및 학습, 가사대행
서비스에 관련된 직업, 레저전문가 운동전문치료사 생활정보 제공업 도시
기획평가사 등을 노크해 볼만하다.

<> 건강 =최첨단 의료기기 생산, 재택 의료서비스, 노인복지및 노인병
전문가, 가족문제 상담원, 유전공학자, 가정보건사, 병원음식매니저등이
각광받고 있다.

<> 환경 =원자력 태양열 등 재생가능 에너지및 대체에너지 개발업, 공해
방지장치제조및 환경평가 등 환경지원 관련업무, 폐기물 처리와 재생에
관련된 업무, 생태계 보존및 회생 오염방지전문가, 환경안전관리사등이
새로운 유망개척분야다.

<> 기업및 개인서비스 =기업 해외진출에 따른 업무지원및 인력파견
서비스, 쾌적한 사무실환경, 상품안전성 신뢰성 제고와 관련된 직업, 벤처
캐피털등 신규사업지원 서비스, 건물관리나 기업정보 서비스, 애프터서비스
나 가사대행 서비스, 안전관리 서비스, 가족 이벤트 대행업등이 눈길을
모으고 있다.

이밖에 사무자동화와 통신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21세기에는 하루종일
근무가 필요없는 파트타임이나 시차근무 재택근무가 가능한 직업이 선호될
것으로 보인다.

또 돈보다는 적성이나 개성을 살릴 수 있는 놀이 성격이 강한 직업이
유망할 전망이다.

연예.오락산업이 팽창하고 있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 정종태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4월 13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