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nday 기획] 철차업계 전동차 덤핑경쟁..1량당 2억원 적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전동차 입찰에 참여하자니 1량당 1억5천만~2억원씩 손해를 보게 되고
불참하자니 생산라인에 먼지만 쌓이고.. 한마디로 진퇴양난이지요"
한진중공업의 철차영업담당 문종철전무는 요즘 나오니 한숨뿐이다.
전동차의 수주여건이 악화되면서 철차영업팀이 회사의 천덕꾸러기로 전락
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당장 나아질 희망도 없다.
문전무의 한숨은 흔히 말하는 "업자"의 "엄살"이 아니다.
이는 한진중공업이 지난해 부산시 지하철본부가 발주한 3백36량의 낙찰
실적을 보면 금방 알수 있다.
그때 따낸 전동차의 1량당 낙찰가격은 4억원.
재료비와 노무비 일반관리비및 경비등을 포함한 적정가격인 6억원에 비해
1억5천만~2억원씩 적자를 보면서 제작중이다.
비단 한진중공업 뿐만이 아니다.
전동차를 생산하는 대우중공업 현대정공등 철차3사가 똑같은 상황이다.
조달청등 발주처가 내놓는 일감은 턱없이 부족한 상태여서 모처럼 나온
"먹이감"에 대해서는 채산성은 뒷전인채 일단 따놓고 보자며 마구잡이
저가경쟁이 벌어지고 있는 탓이다.
이런 제살깎아먹기식 경쟁은 3월중순께 있을 조달청의 인천지하철 발주때도
더하면 더했지 덜할것 같지 않다.
철차업계는 지난 92,93년에는 호시절을 구가했었다.
당시에는 1량당 7억원씩 낙찰돼 짭짤한 재미를 보았다.
그러나 지난 94년부터 상황이 1백80도 달라졌다.
문민정부가 공정거래위원회의 기능을 강화하고 감사원도 조달청및
지방자치단체의 예산사용실태에 대한 감사의 칼날을 날카롭게 세우면서
담합입찰이 힘들어진 것이다.
발주처 구매예산가격의 95%에 달하던 낙찰가격도 65%선으로 뚝 떨어졌다.
업계의 경영난은 1량당 3억8천만~5억5천만원으로 낮아진 최근의 전동차
낙찰가격 추이를 보면 잘 알수 있다.
철차업계가 "걱정이 태산"인 것은 지난해 8월 부산시가 발주한 3백36량
낙찰가격이 "견본"이 될 가능성이 높다는데 있다.
한진중공업이 적정가에서 2억원이나 후려친 4억원이 기준이 되리라는게
대체적인 관측이라서 그렇다.
예컨대 오는 6월에 낙찰업체가 선정되는 인천지하철의 2백량과 내달 15일께
조달청이 발주예정인 서울시 지하철 1호선과 일산선용 2백50량의 낙찰가격도
4억~4억7천만원에 그칠 것으로 업계는 내다보고 있다.
대만등에 수출하는 1량당 1백만달러(8억원)에 비해서는 더욱 낮은 금액
이다.
업계의 주름살이 깊어지는 것은 발주물량은 턱없이 적은데 생산능력은 이를
훨씬 웃돌고 있는데 따른 것이다.
철차업계의 연간 제작능력은 현대정공과 대우중공업이 각각 5백량씩 1천량,
후발주자인 한진중공업이 2백50량으로 총 1천2백50량에 달하고 있다.
여기에 한진중공업이 경북 상주에 공장을 증설(1단계로 연2백50량 생산규모
공장 내년 준공예정)하는 것도 다른 업체를 바짝 긴장시키고 있다.
반면 조달청과 지방자치단체가 발주하는 물량은 한해에 기껏해야 4백~
5백량에 불과하다.
제작능력의 3분의1선에 그치고 있는 셈이다.
업계는 현재와 같은 수주난이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앞으로 있게 될 일감이라고 해봐야 서울시 지하철 7,8호선의 추가물량(3백
50량)과 6호선(3백50량), 부산과 대전지하철등 1천량안팎에 불과하다.
"전동차의 수명이 20~25년에 달해 아직 대체수요를 기대하기도 힘든데다
대체수요가 발생해도 규모는 연간 1백량안팎에 그칠 것으로 보인다"
(현대정공 남상괄 상무)
수주난으로 가동률이 평균 50%에 그치고 있는 철차업계는 현재와 같은
공급과잉속 덤핑입찰로 인한 업계공멸의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서는 저가
경쟁입찰방식에 대한 탄력적인 운용이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오영진 대우중공업이사는 "저가경쟁입찰은 철차업계의 적자경영과 품질
불량을 부채질하는데 그치지 않고 중소업체들에도 악영향을 주고 있다"고
말했다.
헐값으로 낙찰받다보니 협력업체들에도 납품가격 인하를 요구할 수밖에
없다는 것.
동남아등의 바이어들도 "왜 한국에서는 덤핑입찰하면서 우리에게는 바가지
를 씌우느냐"는 항의를 많이 해 수출하는데 걸림돌이 되고 있다는게 업계의
주장.
철차업계는 발주기관이 공인기관을 통한 업계의 원가계산을 면밀히 분석한
후 적정입찰예정가를 정해 주고, 업체별로 물량을 배정해 줄 것을 바라고
있다.
또 일본철도(JR)가 자국 철차업체들로 하여금 적정가격에 맞춘 공동생산과
구매를 유도하고 있는 것도 국내 철차업계에 시사점을 던져주고 있다.
< 이의춘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2월 26일자).
불참하자니 생산라인에 먼지만 쌓이고.. 한마디로 진퇴양난이지요"
한진중공업의 철차영업담당 문종철전무는 요즘 나오니 한숨뿐이다.
전동차의 수주여건이 악화되면서 철차영업팀이 회사의 천덕꾸러기로 전락
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당장 나아질 희망도 없다.
문전무의 한숨은 흔히 말하는 "업자"의 "엄살"이 아니다.
이는 한진중공업이 지난해 부산시 지하철본부가 발주한 3백36량의 낙찰
실적을 보면 금방 알수 있다.
그때 따낸 전동차의 1량당 낙찰가격은 4억원.
재료비와 노무비 일반관리비및 경비등을 포함한 적정가격인 6억원에 비해
1억5천만~2억원씩 적자를 보면서 제작중이다.
비단 한진중공업 뿐만이 아니다.
전동차를 생산하는 대우중공업 현대정공등 철차3사가 똑같은 상황이다.
조달청등 발주처가 내놓는 일감은 턱없이 부족한 상태여서 모처럼 나온
"먹이감"에 대해서는 채산성은 뒷전인채 일단 따놓고 보자며 마구잡이
저가경쟁이 벌어지고 있는 탓이다.
이런 제살깎아먹기식 경쟁은 3월중순께 있을 조달청의 인천지하철 발주때도
더하면 더했지 덜할것 같지 않다.
철차업계는 지난 92,93년에는 호시절을 구가했었다.
당시에는 1량당 7억원씩 낙찰돼 짭짤한 재미를 보았다.
그러나 지난 94년부터 상황이 1백80도 달라졌다.
문민정부가 공정거래위원회의 기능을 강화하고 감사원도 조달청및
지방자치단체의 예산사용실태에 대한 감사의 칼날을 날카롭게 세우면서
담합입찰이 힘들어진 것이다.
발주처 구매예산가격의 95%에 달하던 낙찰가격도 65%선으로 뚝 떨어졌다.
업계의 경영난은 1량당 3억8천만~5억5천만원으로 낮아진 최근의 전동차
낙찰가격 추이를 보면 잘 알수 있다.
철차업계가 "걱정이 태산"인 것은 지난해 8월 부산시가 발주한 3백36량
낙찰가격이 "견본"이 될 가능성이 높다는데 있다.
한진중공업이 적정가에서 2억원이나 후려친 4억원이 기준이 되리라는게
대체적인 관측이라서 그렇다.
예컨대 오는 6월에 낙찰업체가 선정되는 인천지하철의 2백량과 내달 15일께
조달청이 발주예정인 서울시 지하철 1호선과 일산선용 2백50량의 낙찰가격도
4억~4억7천만원에 그칠 것으로 업계는 내다보고 있다.
대만등에 수출하는 1량당 1백만달러(8억원)에 비해서는 더욱 낮은 금액
이다.
업계의 주름살이 깊어지는 것은 발주물량은 턱없이 적은데 생산능력은 이를
훨씬 웃돌고 있는데 따른 것이다.
철차업계의 연간 제작능력은 현대정공과 대우중공업이 각각 5백량씩 1천량,
후발주자인 한진중공업이 2백50량으로 총 1천2백50량에 달하고 있다.
여기에 한진중공업이 경북 상주에 공장을 증설(1단계로 연2백50량 생산규모
공장 내년 준공예정)하는 것도 다른 업체를 바짝 긴장시키고 있다.
반면 조달청과 지방자치단체가 발주하는 물량은 한해에 기껏해야 4백~
5백량에 불과하다.
제작능력의 3분의1선에 그치고 있는 셈이다.
업계는 현재와 같은 수주난이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앞으로 있게 될 일감이라고 해봐야 서울시 지하철 7,8호선의 추가물량(3백
50량)과 6호선(3백50량), 부산과 대전지하철등 1천량안팎에 불과하다.
"전동차의 수명이 20~25년에 달해 아직 대체수요를 기대하기도 힘든데다
대체수요가 발생해도 규모는 연간 1백량안팎에 그칠 것으로 보인다"
(현대정공 남상괄 상무)
수주난으로 가동률이 평균 50%에 그치고 있는 철차업계는 현재와 같은
공급과잉속 덤핑입찰로 인한 업계공멸의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서는 저가
경쟁입찰방식에 대한 탄력적인 운용이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오영진 대우중공업이사는 "저가경쟁입찰은 철차업계의 적자경영과 품질
불량을 부채질하는데 그치지 않고 중소업체들에도 악영향을 주고 있다"고
말했다.
헐값으로 낙찰받다보니 협력업체들에도 납품가격 인하를 요구할 수밖에
없다는 것.
동남아등의 바이어들도 "왜 한국에서는 덤핑입찰하면서 우리에게는 바가지
를 씌우느냐"는 항의를 많이 해 수출하는데 걸림돌이 되고 있다는게 업계의
주장.
철차업계는 발주기관이 공인기관을 통한 업계의 원가계산을 면밀히 분석한
후 적정입찰예정가를 정해 주고, 업체별로 물량을 배정해 줄 것을 바라고
있다.
또 일본철도(JR)가 자국 철차업체들로 하여금 적정가격에 맞춘 공동생산과
구매를 유도하고 있는 것도 국내 철차업계에 시사점을 던져주고 있다.
< 이의춘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2월 26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