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개 속의 낮은 산들 질펀히 흐르는 물 /
거울속의 집들이무른 봉을 마주했다 /
어디서온 배 한척이 바람 받아 가는데 /
언뜻 보인 외로운 새는 아득히 자취 없다"

"임경대"라는 이 한시는 신라말의 학자요 문장가인 고운 최치원(857~?)의
작품이다.

최치원은 경주 사량부출신 견일의 아들로 신라 골품제론 6두품에 속한다.

그는 신라 유교를 대표할 많은 학자를 배출한 최씨 가문중에서도 소위
"신라말기 3최"의 한 사람으로 새로 성장하는 지식인중의 대표적 인물
이었다.

고운이 12세의 나이로 중국 당나라에 유학갈 때 아버지 견일이 "10년동안
과거에 합격하지 못하면 내 아들이 아니다"라고 격려했다 한다.

신흥가문의 기백을 잘 표현한 말이라고 할수 있다.

그는 유학간지 7년만에 빈공과에 합격했고 876년 당나라 선주의 표수현위가
됐다.

최치원이 문명을 천하에 떨치게 된 것은 "황소의 난"때 고병의 종사관으로
표.장.격.서.제문.소계장.시 등 1만여수의 글을 지은 것이 계기가 됐다.

그는 귀국후 이를 정선해 "계원필경"20권을 이뤘는데 이중 특히
"토황소격"이 명문으로 유명하다.

고운은 885년에 신라 헌강왕에 의해 시독등으로 임명됐으나 당시의
신라사회는 이미 붕괴직전이었다.

894년 그는 시무책 10여조를 진성여왕에게 올려 문란한 정치를 바로잡으려
했다.

그는 10여년간 중앙과 지방관직을 두루 지내면서 중앙 진골귀족의 부패와
지방 호족의 반란 등 사회모순을 목격한후 구체적 개혁안을 제시했던
것이다.

진성여왕은 이를 받아들여 최치원을 6두품으로서 최고 관등인 아손에
올렸으나 그의 정치개혁안은 실현되지 못했다.

"삼국사기 최치원전"에 의하면 그는 고려 왕건에게 서한을 보내 신라가
망하고 고려가 새로 일어날 것을 미리 내다보았다 한다.

고운은 사회적 전환기에 주동적 역할은 하지 못하고 40여세란 장년의
나이로 산에 은거해 일생을 마친다.

그러나 그의 역사 현실에 대한 고충은 후계자들에게 영향을 끼쳐
문하생들이 대거 고려조에 참여해 신흥 고려의 새로운 정치.사회질서
수립에 선구적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최치원의 학문적 기본입장은 유학이고 유교사관에 입각한 "제왕년대역"
등이있다.

그러나 너무 중국역사서에 모방적이란 비판도 있다.

그는 문체부가 선정한 "2월의 문화인물"이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2월 1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