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는 멀티미디어 파크 조성에 필요한 정보기술과 감귤 및
화훼기술 연한 환경복원기술 등의 개발에 나서라''

''강원도는 고랭지 환경을 활용한 농작물재배기술개발에 주력하라''

지방자치시대가 열리고 첨단산업이 지방으로 분산되면서 지역 특성에
맞는 기술개발이 이뤄져야 할 것으로 지적되고 있는 가운데 서울을
제외한 전국을 14개 권역으로 나눠 특화기술을 도출한 정책연구결과가
나왔다.

과학기술정책관리연구소(STEPI)가 최근 내놓은 ''지방특화연구개발사업의
효율적 추진을 위한 기획조사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지역의 연구개발
잠재력과 산업구조를 고려한 특화분야를 선정, 기술개발에 주력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제시됐다.

과기처 위탁으로 지난 1년간 수행된 이 연구에는 강원개발연구원
충남대 등 전국의 9개 대학 및 지역연구소가 참여했다.

과기처는 이 연구결과를 지방 과학기술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계획이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인천은 목재.악기.가구 기계 및 전기.전자부품소재
수송기계 등을 특화산업으로 육성키 위한 기술을, 경기도는 제약중심의
정밀화학 및 도금 영상디자인 등의 기술을 집중 개발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강원도는 약초류 신물질과 생물공학적 농림수산기술 등을, 대전은
대덕 연구단지보유 기술중 산업계에 이전가능한 기술과 정보통신 및
생명공학분야의 벤처기업 설립을 유도하기 위한 창업지원형 기술개발이
적합한 것으로 지적됐다.

충남은 인삼관련기술과 반도체제조장비 및 수송기계부품 등을, 충북은
관상어 원예 등 특화농업기술과 반도체 등을 개발하는데 힘써야 할 것으로
제시됐다.

부산은 수산가공 신발 조선기자재 항만기술, 경남은 단감 등 특화농업과
메카트로닉스부품 주물 금형 등 진해와 창원지역 공단의 특화기술,
대구는 섬유디자인기술 안경테 자전거부품, 경북은 섬유기계와 안동포
등 전통기술 등의 개발에 적극 나서야할 것으로 나타났다.

광주는 무등산 수박 등 원예기술과 문화재를 복원하는 전통기술,
전남은 농수산물 가공기술과 도예 및 죽세공 제작기술, 전북은
영상정보기술과 한지같은 전통기술, 제주도는 ''청청에너토피아''를
구축하기 위한 환경보전 및 복원기술을 비롯 멀티미디어 정보기술 등을
개발하는데 주력해야 할 것으로 분석됐다.

이번 정책연구를 총괄한 STEPI의 현재호박사는 "지역특화 연구개발을
기본정책으로 한 범부처적인 지방 과학기술 중장기 발전계획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계획은 지자체가 파기정책을 주도하고 중앙정부가 조정하는 형태로
진해돼야 할 것으로 제시됐다.

이를위해 중앙부처의 과학기술예산중 지방에 투자되는 부분을 별도
항목으로 관리하는 한편 오는 2020년까지 지방과기예산을 중앙 정부
과기예산의 25%수준으로 끌어 올리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이와함께 지역특화연구개발을 지원할 우수연구센터의 설립, 지자체가
주도적으로 과기정책을 개발하고 추진할수 있는 법적 근거 마련 등이
필요하다고 보고서는 밝혔다.

<김재익기자>

(한국경제신문 1996년 1월 15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