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스탕의 색상이 다양해졌다.

검정 갈색 짙은자주색 대신 분홍 연두 주황 아이보리 하늘색 등 화사한
색상의 무스탕을 입은 여성들을 거리 곳곳에서 만날수 있다.

이런 현상의 가장 큰 이유는 무스탕의 대중화.

무스탕은 모피 및 모직물과의 경쟁을 이겨내고 겨울소재의 총아가 됐다.

모피는 가격이 비싼 데다 손질이 어렵고 디자인이 단순하며, 모직은
호사스런 맛이 덜하다.

이에 비해 무스탕은 디자인이 다양할 뿐만 아니라 반코트를 최저
20만원선에 살 수 있을 만큼 가격도 낮아졌다.

신원"씨" 이지은 기획팀장은 "값비싼 정장에는 여러 옷에 두루 맞고
오래 입을수 있는 어두운 무채색, 부담없고 가벼운 아이템에는 밝고
경쾌한 색을 고르는 경향에 비춰보면 색이 밝아졌다는 것은 곧 무스탕의
대중화정도를 반영하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소재 또한 다양해졌다.

기존의 스웨이드 등 양가죽은 물론 물쥐털이나 돈피까지 폭넓게
사용된다.

털끝을 흰색으로 처리한 꼬불꼬불한 형태의 "컬리"제품은 캐주얼한
느낌이 강해 올겨울 특히 강세.

칼라 소매 아랫단에 털을 트리밍해 여성스런 맛을 살린 디자인도 인기가
높다.

유림"메르꼴레디" 이정선 디자인실장은 "A라인 무스탕 반코트에
무릎까지 올라오는 롱부츠, 안에는 보슬보슬한 풀오버스웨터를 입으면
경쾌하고 세련된 멋을 낼수 있다"고 전한다.

< 조정애기자 >

<<< 모피/가죽 손질법 >>>

<> 무스탕 토스카나 = 눈.비에 젖었을 경우 실내에 들어서는 즉시
마른수건으로 두드린후 바람이 잘 통하는 그늘에 건다.

불 근처에 갖다대거나 다리미질하는 것은 절대금물.

외출에서 돌아오면 바로 스펀지로 가볍게 문질러주며 남는 때는
고무지우개로 지운다.

<> 모피 = 외출에서 돌아온 뒤 옷걸이에 걸어 얇은 막대기로 가볍게
두드려준다.

때가 있으면 물에 적셔 꼭 짠 천으로 털의 결을 따라 닦은 뒤 알콜을
묻혀 가볍게 문질러 준다.

보관할 때는 습기제거제를 넣어둔다.

<> 일반가죽제품 = 마른 타월로 먼지를 털어준다.

콜드크림이나 시너는 변형과 수명단축을 가져오므로 피해야 한다.

드라이클리닝은 3~4년에 한번정도 한다.

(한국경제신문 1995년 12월 31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