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서울 목동에 있는 쓰레기 소각장의 배출물질중에서 인체에 유해한
다량의 다이옥신이 검출되어 여론이 비등한 적이 있었다.

또한 남해안 일대의 적조현상때문에 어민들을 망연자실케한 기억이 생생
하다.

나라 밖으로는 프랑스의 남태평양 군도에서의 잇단 핵실험으로 그린피스등
환경단체들의 강력한 항의와 함께 각국이 유감의 뜻을 표명한바도 있다.

근대산업문명은 경제적으로는 삶의 풍요를 가져다 준것이 사실이지만
아울러 환경파괴적 발전도 수반하였다.

대기오염과 온난화, 오존층의 파괴, 수질오염, 멸종 동식물의 증가, 이상
기후 현상등이 그 징후이며 그동안 개발과 성장의 그늘에 가려 당장 나타
나지 않았거나 문제시되지 않았던 환경파괴의 문제가 이제 전세계 인류가
함께 해결해야 할 제1의 과제로 전면에 등장하게 된것이다.

국제적인 환경회의가 되고 각국도 환경을 살리자는 대원칙에는 합의가
되었지만 구체적 실천과정에서는 선진국과 개도국간, 개별국가 상호간의
정치적 경제적 이해관계가 얽혀 좀처럼 좁혀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그럼에도 환경살리기는 지속적으로 추진되어야 하며 이 과업은 경제활동의
주역을 담당하고 있는 우리 기업들부터 먼저 환경친화적 국민기업으로
변모함으로써 풀어나갈 수 있다고 본다.

이런 맥락에서 기업의 환경산업분야에 대한 관심과 투자는 단순히 이윤
추구라는 기업의 경제적 상업적 동기의 차원을 벗어나 진정한 의미에서의
환경보전이라는 사회적 국민적 동기가 부여되어야 마땅하다.

대가업과 중소기업이 협력하여 상품의 디자인.개발에서부터 생산 유통
판매및 재활용, 폐기에 이르기까지 상품순환의 전과정에 걸쳐 가장 효율적
이고 합리적인 자원소비와 활용, 환경친화형기술개발 등에 노력을 아끼지
말아야 할것이며 정책당국도 환경보전 노력을 위해 앞장서는 기업에 금융
세제상의 혜택을 주는등 과감한 환경정책개발이 뒤따라야 한다.

기업과 정책당국의 노력이 당장 눈에 보이는 이유이나 결과가 나오지 않는
엄청난 투자와 시간을 필요로하는 작업일지라도 환경은 이보다 더 중요한
우리의 생존과 직결된 문제이기 때문이다.

(한국경제신문 1995년 11월 8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