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억이 넘는 인구를 자랑하면서 곳곳의 도시들이 상업화의 극단을 달리고
있는 "매력"이 가득하지만 이를 마음껏 즐기는데는 아픔이 따를 소지가
크다"
우리기업들이 지난 수년간 중국땅을 노크하면서 내린 결론이다.
이제 중국경제를 보는 올바른 눈을 길러야 할때다.
중국은 한국과 같은 인종이며 공통의 문화를 가지고 있어 서로 통하는
부분이 적지 않다.
그러나 반대로 이러한 한중간의 근접성때문에 특수성을 보지 못하는 함정도
곳곳에 있다.
이에따라 비즈니스나 사업전략상에서 오해나 잘못이 생길 가능성도 있다.
중국경제의 특수성에 초점을 맞추어 중국시장을 공략해야 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첫째 중국에선 눈에 보이는 현실과 통계숫자 사이에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국민소득통계를 보면 최빈국에 속하는 중국에서 가전제품을 비롯한 소비재
가 어떻게 잘 팔리는가 하는 것이다.
해답은 간단하다.
중국의 1인당 GDP는 500달러에도 미치지 못하지만 지역별로 보면 심천
6,455달러, 주해 3,165달러, 상해 1,499달러등 연해지역엔 1,000달러를
넘는 도시가 많다.
이러한 도시에선 중국 평균수준에 비해 높은 소비활동을 할수있는 것이다.
고려해야 할 측면은 또 있다.
중국에선 비정기적인 수입 비율이 높다.
지하경제가 뿌리깊게 존재하는 것이다.
공식통계에 의하면 도시의 경우 총수입중 비정기수입의 비율은 93년 20.6%
에 불과했다.
그러나 여기엔 비정기적 수입의 일부가 빠져 있다.
현지 경제조사기관들은 표준적인 비정기수입 비율이 50%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둘째 국토의 거대함이다.
이에따라 거대한 국토를 지역별로 나누어 공략하는 것이 중요하다.
중국을 하나의 국가, 한덩어리의 지역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비현실적이다.
언어 기질 자원등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옛날과 같이 복수국가라고 보는
편이 더 현실적이다.
더욱이 내륙과 연해지역의 경제성장 차이도 첨가되어 지역을 보는 방법은
한층 복잡하다.
따라서 산동성에 진출한 기업의 성공사례를 흑용강성에 적용해서는 결과는
실패뿐이다.
지역별 연구가 선행돼야 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셋째 중국엔 아직도 사회주의라는 중앙정부의 통제력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각 지방은 뿔뿔이 흩어진 것처럼 보이지만 중앙의 계획을 그대로 관철하고
있는 부분이 적지 않게 존재하고 있다.
단순한 "시장경제"가 아니고 "사회주의 시장경제"인 것이다.
따라서 중국의 "사회주의 시장경제"는 NICS나 ASEAN에서 경험한 발전
도상국의 문제점이나 사업상의 위험과는 다른 성질을 갖고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일부 업종이나 지역은 중앙정부의 통제와 계획에 의해 좌지우지된다.
이같은 범주에 드는 업종은 자동차 VTR 통신 금융 유통등이다.
지역은 상해를 중심으로 한 장강삼각주등을 중앙계획경제의 중심으로
지정한 것을 말한다.
넷째 중국이 사회주의국가라는 측면에서 볼때 등소평사후의 사회와 경제는
불투명하다.
중국사회는 건국이래 20여년은 모택동의 존재로, 개혁개방으로부터 20년간
은 등소평의 존재로 규정되어 왔다.
등소평이후 국제정치의 흐름을 읽어야 비즈니스의 향방을 잡을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인치국가인 중국에서 발생하는 특유한 위험이다.
법률 세제등의 돌발적인 변경과 이에대한 다양한 운영이 존재하며 복잡한
인가취득 프로세스, 관리들의 필요이상의 간섭등이 그것이다.
이는 인맥을 이용하면 예외조치를 받게 되어 위험은 무에 가까워질수도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때 중국에서 위험회피의 최대방어책은 우수한 중국측
파트너를 선정, 정부(중앙.지방)와의 원만한 관계를 이루는 것이다.
합자.합작기업일 경우 중국측 파트너에게 힘이 있으면 그 파트너의 인맥을
이용, 다음과 같은 면에서 유리한 조건으로 사업을 전개해 위험을 회피할수
있다.
<>인가취득을 원활하게 꾀한다 <>원재료의 구입, 자재조달에 유리하도록
도모한다 <>중국내에서 판매할 경우 판매경로의 확보가 쉽다 <>인민폐를
국내에서 원활하게 조달할수 있다.
반대로 파트너에게 힘이 없을 경우 이와같은 장점이 없을 뿐더러 경영방침
이나 노동관리 이익배분등을 둘러싸고 의견이 대립, 경영이 원활하지 않고
수익이 올라가지 않는등의 상황에 맞닥뜨리게 된다.
실제 중국에서 성공한 한국기업은 파트너와 합작기업을 설립하기 전에
우선 기술제휴 위탁생산 무역등의 관계를 통해 서로를 잘 이해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내부적 분쟁이 적어지고 외부적 분쟁에 대해서도 옛날
파트너의 힘(인맥 자금력)을 이용해 극복할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는 것이다.
(한국경제신문 1995년 10월 28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