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비자금파문에 휩쓸렸던 은행 투금사등 금융기관들은
노전대통령의 대국민사과에 대해 내용을 액면대로 믿을수는 없지만
사건이 조기에 종결되게 됐다며 홀가분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특히 구체적인 근거도 없이 마치 비자금이 숨겨져 있는 곳으로 지목됐던
은행들은 억울한 누명을 벗게됐다고 반기는 모습이었다.

그러나 노전대통령이 아직 남아있다고 밝힌 1천7백억원의 소재를
파악하는 과정에서 관련 금융기관이 드러날 것으로 예상됨에따라 긴장을
완전히 풀지는 않고 있다.

<>.효자동 지점이 청와대의 사금고인양 비춰져 속앓이를 해온
상업은행은 억울한 누명을 벗게됐다는 반응.

상업은행의 한관계자는 "단언컨대 상업은행에 비자금은 한푼도 없다"고
거듭 주장하며 "사건이 조기에 매듭지어져 손상된 은행이미지를 회복할수
있으면 좋겠다"고 희망.

한일 제일 서울 국민 등 검찰로부터 압수수색을 받았던 은행들은
언론에 은행이름이 오르내리자 고객들에게 비자금이 은닉돼있는 것처럼
비춰졌다며 이런 부담을 덜수 있게 됐다고 안심하는 모습.

신한은행은 그러나 서소문지점에 추가로 비자금이 존재한다는게
밝혀지자 더욱 침울한 분위기.

이 은행의 한 관계자는 "노전대통령의 비자금중 상당액이 신한은행에
예치돼 있는 탓에 나머지도 신한은행에 있을 것이라는 추측이 나와
은행이 매우 어려운 실정"이라고 한숨.

<>.은행들은 5천억원의 비자금중 1천7백억원만 남아 있다는
노전대통령의 주장을 신뢰할수 없다는 반응.

은행원들은 이구동성으로 노전대통령이 비자금규모를 현재 거론되는
수준으로 줄인것 같다고 추측.

은행들은 특히 노전대통령이 1천7백억원이 예치된 금융기관을 구체적
으로 밝히지 않은데 대해 원망.

만일 노전대통령이 금융기관을 구체적으로 얘기했다면 관련이 없는
은행들은 홀가분할수 있는데도 이를 밝히지 않아 앞으로 며칠간은
비자금파동에 시달릴 것으로 예상.

은행들은 또 노전대통령이 대국민사과에서 "기업들에게 피해가 가지
않기를 바란다"고만 언급하고 "선의의 피해자"인 은행과 은행원에
대해선 한마디 말도 하지 않자 해도 너무 한다고 성토.

<>.재임기간중 5천억원을 조성한 노전대통령은 전무후무한 금융기관의
최대 개인고객으로 기록될듯.

사채시장을 주름잡고 있는 "큰손"들도 아무리 많아야 수백억원만을
여러 금융기관에 분산예치하고 있다는게 금융계의 정설.

2백48억원이 간부 2명의 명의로 예치된 것으로 확인된 동아투금의
경우 현재 1백억원이 넘는 개인고객은 이들을 제외하곤 한명도 없는
실정.

금융계에선 대형사기사건의 주인공들도 기껏해야 수백억원을 움직였던게
고작이었다며 노씨만한 거액고객은 앞으로 나오기 힘들 것으로 전망.

<>.비자금 은닉으로 홍역을 치르고 있는 동아투자금융은 이날 "검찰이
발표한 2백48억원외말고도 비자금이 더 동아투금에 있을리가 없다"며
항간의 추가은닉설을 부인.

동아투금은 또 정창학감사등의 명의로 된 비자금 차명계좌를 관련임원
들이 실명제후 실명확인을 해줬다는 일부 의혹과 관련, "문제의
어음관리계좌(CMA)에 실명제후 이자가 붙지 않은 것을 볼 때 실명확인을
하지 않았음이 분명하다"고 해명.

<>.동아투금은 지난 93년9월 실명제 위반사건에 이어 2년만에 비자금
입금파문으로 회사이미지에 치명타를 입자 내년 7월 종합금융사 전환에
맞춰사명을 바꾸려고 했던 기업이미지통일(CI) 작업을 앞당길 방침.

동아투금의 새 상호로는 "나라", "다우" 등으로 검토되고 있다고
이 회사관계자는 밝혔다.

< 정구학.하영춘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5년 10월 28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