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이 나응찬 신한은행장 소환조사 방침을 전격 발표함에 따라 은행 등
금융계는 비자금파장이 더욱 확대될 것을 우려, 바짝 긴장하고 있다.

금융계에선 6공화국의 통치자금이 현재 밝혀진 3백억원보다 훨씬 많을 것
으로 보고 있다.

검찰수사도 "추가 비자금"의 존재여부에 모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경우 은행들에 대한 조사확대는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금융계관계자들은 신한은행에 예치돼 있는 3백억원이 실명확인을 하지
않은 점에 비춰 추가비자금도 현재 실명으로 전환하지 않은 가명예금과 실
명미확인예금에 감춰져 있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지난 6월말현재 실명을 확인하지 않은 금융권 자료는 9조1천억원에 이르
고 있다.

은행별로는 주택은행이 9천2백억원으로 가장 많다.

이밖에 <>조흥 7천억원 <>국민 하나 각각 4천억원 <>외환 3천8백억원 <>상
업 2천9백억원 <>신한 1천9백50억원등이다.

이중 당장 실명확인을 할 필요가 없는 장기 예.적금과 보험을 제외하면
상당수가 "구린내"가 나는 돈으로 풀이된다.

6공의 추가비자금도 이 속에 포함돼 있을 가능성이 높다.

은행들은 "혹시 비자금이 자기은행에 예치돼 있지 않을까"하고 대책마련
에 몰두하고 있다.

전국영업점에 "의혹"의 소지가 있는 거액예금현황을 파악토록 이미 지시한
데 이어 실명미확인예금의 주인을 대상으로 "이상유무"를 알아보는데 주력
하고 있다.

<>.6공비자금이 예치돼 있다가 빠져 나간걸로 지목되고 있는 상업은행은
"효자동지점을 확인해본 결과 그런 돈이 예치된 적이 없었다"고 거듭 주장
하면서도 "만일의 사태"에 대비,잔뜩 긴장하고 있다.

이 은행관계자는 "효자동지점이 청와대와 거래해온 것은 사실이지만 4천억
원이란 거액이 입금된 적은 없다"고 말했다.

금융계에선 그러나 상업은행효자동지점에 "청우회(청와대경호실출신모임)"나
"KHS(경호실의 영문첫글자)"등의 명의로 예금거래가 빈번했던 것으로
보고 있다.

또 "4천억원이 효자동지점에서 빠져나갔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가능성은
충분하다고 풀이하고 있다.

입금액을 효자동지점이 아닌 본점영업부등의 수신계수로 잡으면 효자동지
점의 수신계수의 조정없이도 입.출금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어디까지나 "가능성"에 불과하지 현실성은 희박하다는게 대체
적인 시각이다.

<>.은행들은 수사가 확대됨에 은행직원들을 대상으로 "입조심"을 강조하고
있다.

이현우전청와대경호실장의 추가비자금의 존재를 완강히 부인하거나 비자금
에 직.간접적으로 관계된 사람들의 "제보" 없이는 비자금을 추가로 밝혀내
기 힘든 실정이다.

이런 상황에서 은행직원들이 말을 잘못 했다간 본인은 물론 은행전체도
비자금수렁에 통째로 빠져들수 밖에 없다.

이에따라 각 은행들은 내부적으로 "예금거래상황을 일절 외부에 알리지 말
라"는 엄명을 내려놓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은감원이 이우근신한은행이사대우등을 서둘러 실명제위반으로 고발토록한
것도 다른 은행원들에대한 "입조심하라"는 경고로 해석되고 있다.

<>.신한은행에 예치돼 있는 3백억원이 6공화국의 통치자금으로 밝혀진 것
에 미뤄볼때 나응찬은행장등 은행임원들도 사전에 이 사실을 알고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만일 다른 은행에도 비자금이 존재한다면 그 은행임원들도 사전에 그 사실
을 인지하고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

그럴 경우 비자금파문의 확대여부에 따라 몇명의 은행장을 포함한 은행임
원들이 대거 인사조치될 것으로 보여 금융계에 인사회오리가 몰아닥칠 전망
이다.

<>.자금시장도 비자금설파문으로 충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18일 비자금설이 터져나온후 이틀동안 하락하다가 지난 21일 상승세
로 돌아섰던 주가도 당분간 침체상태를 벗어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연11%대 진입을 앞두고 있는 시장금리도 마냥 하향세를 지속할지는 불투명
하다.

또 뭉칫돈들이 대거 금융기관을 빠져 나갈 경우도 배제할수 없다.

< 금융팀 >

(한국경제신문 1995년 10월 23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