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그룹의 건설3사가 18일 발표한 "신건설제도"도입은 우리 건설업계의
고질적 병폐인 부실공사를 근본적으로 막기 위한 "건설의 품질혁신"
선언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특히 성수대교와 삼풍백화점붕괴등 대형참사를 계기로 부실공사근절을
위한 구체적 대안이 요구되는 시점에서 업체 스스로 국내 건설문화에 심대한
영향을 미칠 파격적 선언을 하고 나선 것은 다른 업체들에는 충격이요,
소비자들에게는 반가운 일이 아닐수 없다.

신건설선언중 우선 눈에 띄는 부분은 외국 감리전문인력을 건설현장에
상주시키겠다는 대목이다.

그동안 국내 업체들이 외국에서는 정밀시공으로 명성을 얻었으면서도
국내에서는 그렇지 못했던 것은 감리부실의 책임이 크다고 할수 있다.

삼성이 국내 감리회사들의 밥그릇을 빼앗는 것이 아니냐는 곱지 않은
시선을 감수하면서까지 외국감리단, 그것도 까다롭기로 이름난 영국 미국의
감리회사와 계약을 맺은 것은 막대한 추가비용이 들더라도 국내 감리풍토를
쇄신해 소비자들의 신뢰를 회복하겠다는 의지로 평가할만 하다.

건물 골조공사에 대한 평생품질보장제 역시 그동안 소홀히 해온 건축물의
사후관리를 시공회사가 책임지겠다는 강력한 의지의 표현이라고 할수 있다.

또 협력업체의 적정이윤 보장제도는 설령 적자가 난다 해도 본사가 떠안고
협력업체엔 전가시키지 않겠다는 뜻으로 받아들여진다.

특히 모든 공사대금의 현금지불제도는 자금압박에 시달리는 협력업체의
숨통을 틔어주는 조치로 장기적으로는 모든 건설업체가 뒤따르지 않을수
없을 것이다.

그러나 일부 건설업체들의 이같은 선언이 과연 충실하게 실행에 옮겨져
부실추방의 계기가 될수 있을지는 앞으로 시간을 두고 지켜봐야 할 일이다.

그동안 건설관련 대형참사가 있을때마다 건설업계 스스로"혼이 담긴
시공"이니"부실추방 원년"이니 하며 요란하게 떠들어 대면서도 막상
공사결과는 부실과 비리로 얼룩져온 것이 우리의 현실이다.

이번에도 소비자들의 불신을 미봉하기 위한 "술책"차원의 선언으로
끝나지 말라는 보장이 없다.

건설업체들의 이같은 개혁노력과 관련해 우리는 정부당국에도 하고싶은
말이 있다.

업계의 부실근절 노력은 제도적 측면에서의 개선과 병행될 때에만 효과를
볼수 있다.

특히 지금은 부동산경기의 침체로 건설업체들이 큰 어려움을 겪고 있어
부실근절의 짐을 업계 혼자 떠맡기에는 무리가 있어 보인다.

2중3중으로 건설업체들의 숨통을 죄고 있는 땜질식 규제위주의 제도들은
하루속히 개선되지 않으면 안된다.

삼성의 이번 고품질건설 선언은 보기에 따라서는 건설시장개방을 앞두고
기업 이미지를 제고하여 수주및 판매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하려는 기업차원의
생존전략이라고 할수도 있지만 품질시공에 대한 대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했다는 점에서 큰 기대를 갖게 한다.

이를 계기로 건설업계와 관계당국의 의식구조에 근본적인 변화가
있었으면 한다.

(한국경제신문 1995년 10월 20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