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은 곧 세계공용어라 할수 있습니다.

세계시장을 공략하려면 기술개발과 더불어 산업디자인 육성이 무엇보다
중요하지요" 영국왕립예술학교( Royal College of Art ) 안토니 존스학장은
산업디자인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산업디자인포장개발원(KIDP)이 추진중인 산업디자인대학원설립에
대한 의견을 교환하는등 방한일정을 보내고있다.

-RCA는 어떤 곳인지.

"그래픽 기술 제품디자인등 산업디자인 전분야의 전문가들을 양성하는
곳이다.

헨리무어 데이빗하크니등 세계적으로 유명한 디자이너들을 배출했고
1백%실기중심으로 교육한다. 한국기업에서 온 유학생도 많이 있다"

-디자인이 제품력에 미치는 영향은.

"디자인은 곧 경쟁력이다. 디자인은 구매의 직접적인 동기요인으로
차별화된 디자인없이는 우수한 품질의 제품이라도 살아남기 어렵다"

-한국의 산업디자인에 대한 평가는.

"바깥에서 볼 때 한국의 산업디자인수준은 아직 낮고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자동차 전자제품등 특정분야에만 치중돼있는 것이 문제점이고 기술개발에
대한 투자이상으로 디자인개발이 시급하다"

-산업디자인대학원설립 자문위원으로서의 활동은.

"커리큘럼구성에 대해 논의중이다. 실기중심의 집중교육을 권했다.

교육내용이 확정되는 대로 RCA교수 2-3명을 강사로 파견한다.

대학원준비위원회측에 우리 교육프로그램들을 소개하고 세계산업디자인
경향에 대해 전반적인 설명도 했다"


-유럽산업디자인의 추세는.


"산업디자인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소비자와의 관계다.

유럽은 인구의 고령화현상으로 곧 40대 이상이 전체인구의 절반이상을
차지하게 된다.

젊은 소비층을 겨냥,첨단화 현대화를 지향하던 산업디자인이 고령인구를
위한 디자인으로 변화하고 있다"

(한국경제신문 1995년 9월 27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