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마트"와 "프라이스 클럽"등 유통업체의 도서가격파괴현상이 점차 확산
되자 출판 서적업계가 비상에 걸렸다.

82년7월 공정거래법에 의거 체결된 "출판물 재판매가격 유지계약"에 따라
형성된 정가제가 무너짐과 동시에 대부분의 서점이 큰 타격을 입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출판업자들은 정가파괴가 장기적인 차원에서는 출판문화의 질적
저하를 초래할 수밖에 없다고 우려한다.

그러나 출판물의 본질은 생태적으로 가격파괴의 생리를 지니고 있다.

외국의 출판계획에는 정상적 판매기간이 명시되어 있고 이 기간이 지나면
바로 재고처리를 하게 된다.

재고처리도 다양해 회원제를 정립해서 일정의 돈을 받고 몇권씩을 서비스
하거나 일괄덤핑을 하는데 국내에서는 그동안 이와같이 가능하고도 기본적인
방법마저 실시하지 않았던 것이다.

재고처리만 못한게 아니라 정가의 규격까지도 획일화시켜 결국은 저가의
문고판을 사라지게 했다.

그렇다고 출판문화가 가격파괴라는 유행을 인위적으로 따라야만 한다는
논리가 아니다.

정가제가 출판문화의 성장을 도운 것은 사실이지만 그로인해 유통구조개선
에 소홀했다는 점을 직시하여야 하며 유통시장이 전면 개방되는 96년 유통
합리화에 의한 외국가격파괴업체의 진출이 확실시되므로 국내 출판계도
유통구조에 대한 연구를 더이상 늦출수 없다.

홈쇼핑시대를 맞이하고 있는 시점에서 출판계도 북클럽형태와 주문배달체제
그리고 책단위로 수요자를 찾아 나서는 새로운 접근책을 모색하기 위해서도
도서가격파괴는 유통구조문제와 더불어 심도있게 고려되어야 한다.

김현민 < 서울 강남구 신사동 657-15호 >

(한국경제신문 1995년 2월 7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