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복은 여인의 몸매를 옷속에 감추고 그 흐르는 듯한 선을 강조하는 의상.

한동안 활동성과 현대적 감각을 더한 개량한복이 눈에 띄었으나 최근엔
다시 전통한복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특히 설날에는 너무 화려한 것 보다는 조촐하고 전통적인 차림이 어울린다.

한복에서는 색상이 특히 중요하다.

예전에는 연령 신분 절기에 따라 색을 구분해 입었으며 지금도 그 전통은
다소 남아있다.

연령별로 어울리는 색상을 보면 중년층에는 남색이나 옥색 자주빛 치마에
연분홍이나 미색저고리를 입는 것이 차분하고 기품있는 분위기를 자아낸다.

다홍치마에 초록저고리는 전통적인 새색시의 차림.

다홍치마에 노랑저고리는 원래 어린아이나 처녀들이 입었던 옷.

밝고 명랑한 느낌이 명절의 기분을 돋구는데 안성맞춤이다.

한복의 매끈한 선을 만들어 내려면 속옷을 잘 갖춰 입어야 한다.

옛날에는 여러개의 속곳과 속적삼을 입었지만 요즘은 속바지 속치마
속적삼을 입는다.

속치마는 겉치마보다 2~3cm 짧게 입고 조끼허리의 단을 조금 길게 해서
가슴을 충분히 싸맨 후 겉치마를 입어야 맵씨가 난다.

치마의 자락은 왼쪽으로 여며지도록 한다.

치마의 선을 좀더 우아하게 만들려면 무지기(페티코트)를 입는다.

이는 상체를 작고 하체를 풍성하게 하여 한복고유의 미를 살려준다.

버선은 양쪽 수눅이 안으로 오도록 신어야 하며, 외출시에는 치마자락을
잘 여며 자락이 벌어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한복에 익숙지 않은 젊은이들이 가장 불편해하는 부분의 하나가 저고리
고름.

매듭 안쪽으로 핀을 하나 꽂아두면 고름이 풀리지 않아 편안하게 한복을
입을수 있다.

남자한복은 바지 저고리 조끼 마고자와 두루마기로 이루어져 있다.

입을때 가장 신경쓰이는 부분은 바지대님 매기.

바지사폭을 왼쪽으로 여미고 복사뼈 안쪽에서 시작하여 발목을 두번
두른후 고를 맨다.

외출시에 마고자차림은 예의에 벗어나므로 반드시 두루마기를 입어야
한다.

한복에 맞는 장신구로는 조바위와 비슷한 모양으로 뒷부분을 길게
늘어뜨린 아얌, 옛날 노인들의 방한모라 할수있는 조바위, 머리뒤쪽에
장식용으로 꽂는 뒤꽂이, 깃고름에 걸거나 허리에 다는 노리개등이 있다.

적절히 사용하면 화려한 분위기를 더할수 있다.

한복은 또 보관을 잘해야 한다.

옷걸이에 걸어두면 색이 바래거나 변형될 수 있으므로 한복상자에 한벌씩
큼직하게 개켜서 넣어둔다.

(한국경제신문 1995년 1월 27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