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러독스경제학] (22) 조업중단점..노택선 <청주대 교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기업이 생산활동에 참여하는 가장 중요한 목적은 이윤을 얻기 위해서다.
따라서 기업은 손실이 발생할때 생산을 중단하겠으나 경제학에서는 손실이
발생해도 생산을 계속하는 것이 득이 되는 경우가 있다.
기업의 이윤을 전체수입에서 비용을 뺀 것이다.
그런데 물건을 만드는데 들어간 비용은 크게 두가지로 구분할수 있다.
하나는 가변비용으로 노동자의 임금, 원료비 등과 같이 생산량이
늘어나면서 변동하는 바용이며, 다른 하나는 고정비용으로 설비투자등
생산량과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비용이다.
가변비용과 고정비용을 합해서 총비용이라하고 생산된 물건의 수로 나눈
것을 평가변비용, 평균 고정비용, 평균총비용이라 한다.
이제 물건의 가격은 시장에서 결정되어 기업에서는 이를 주어진 것으로
받아들일수 밖에 없는 완전경쟁시장을 가정하자.
다행히 시장가격이 물건 생산에 들어간 평균총비용 보다 높다면 이윤을
얻게되고, 시장가격과 평균총비용이 같다면 이윤도 손실도 없는 손익분기점
(breakeven point)에 이르게 된다.
그런데 가격이 손익분기점보다 더 내려가면 어떻게 될까.
당연히 기업은 손실을 볼 것이다.
그러나 만약 이 기업이 생산을 중단하게되면 더 이상의 가변비용은
들어가지 않겠지만, 고정비용은 생산 여부와 관계없이 들어간다.
따라서 기업은 생산을 하지 않더라도 고정비용 만큼의 손실을 보게 된다.
결국 이 기업은 생산을 해서 손해를 보게 된다.
결국 이 기업은 생산을 해서 손해를 보더라도 가체 가변비용과 고정비용의
일부를 보상받을수 있다면 생산을 함으로써 손실을 중이는 편이 나은
셈이다.
이제 가격이 더 낮아져 고정비용은 물론 가변비용도 커버되지 않는 경우가
되면 생산을 그만둠으로써 고정비용만큼만 손해를 보는 것이 낫다.
이처럼 시장가격이 평균가변비용 보다 낮아지기 시작해서 생산을 그만두게
되는 되는 점을 조업중단점이라 하고 손익분기점과 조업중단점 사이에서
가격이 주어지면 손실이 생기더라도 기업은 생산을 계속하는 것이 단기적
으로 유리하다는 것이다.
(한국경제신문 1995년 1월 24일자).
따라서 기업은 손실이 발생할때 생산을 중단하겠으나 경제학에서는 손실이
발생해도 생산을 계속하는 것이 득이 되는 경우가 있다.
기업의 이윤을 전체수입에서 비용을 뺀 것이다.
그런데 물건을 만드는데 들어간 비용은 크게 두가지로 구분할수 있다.
하나는 가변비용으로 노동자의 임금, 원료비 등과 같이 생산량이
늘어나면서 변동하는 바용이며, 다른 하나는 고정비용으로 설비투자등
생산량과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비용이다.
가변비용과 고정비용을 합해서 총비용이라하고 생산된 물건의 수로 나눈
것을 평가변비용, 평균 고정비용, 평균총비용이라 한다.
이제 물건의 가격은 시장에서 결정되어 기업에서는 이를 주어진 것으로
받아들일수 밖에 없는 완전경쟁시장을 가정하자.
다행히 시장가격이 물건 생산에 들어간 평균총비용 보다 높다면 이윤을
얻게되고, 시장가격과 평균총비용이 같다면 이윤도 손실도 없는 손익분기점
(breakeven point)에 이르게 된다.
그런데 가격이 손익분기점보다 더 내려가면 어떻게 될까.
당연히 기업은 손실을 볼 것이다.
그러나 만약 이 기업이 생산을 중단하게되면 더 이상의 가변비용은
들어가지 않겠지만, 고정비용은 생산 여부와 관계없이 들어간다.
따라서 기업은 생산을 하지 않더라도 고정비용 만큼의 손실을 보게 된다.
결국 이 기업은 생산을 해서 손해를 보게 된다.
결국 이 기업은 생산을 해서 손해를 보더라도 가체 가변비용과 고정비용의
일부를 보상받을수 있다면 생산을 함으로써 손실을 중이는 편이 나은
셈이다.
이제 가격이 더 낮아져 고정비용은 물론 가변비용도 커버되지 않는 경우가
되면 생산을 그만둠으로써 고정비용만큼만 손해를 보는 것이 낫다.
이처럼 시장가격이 평균가변비용 보다 낮아지기 시작해서 생산을 그만두게
되는 되는 점을 조업중단점이라 하고 손익분기점과 조업중단점 사이에서
가격이 주어지면 손실이 생기더라도 기업은 생산을 계속하는 것이 단기적
으로 유리하다는 것이다.
(한국경제신문 1995년 1월 24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