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 한국, 미국의 반도체 업체들이 최첨단 파운드리 공정인 2나노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11일(현지시간) 전문가들을 인용, 2나노 부문에서 세계 파운드리(위탁생산) 1위 업체인 대만의 TSMC가 우세한 것으로 보이지만, 삼성전자와 인텔이 격차를 좁힐 기회가 있다는 기대도 있다고 보도했다.
나노(㎚·10억분의 1m)는 반도체 회로 선폭을 의미하는 단위로, 선폭이 좁을수록 소비전력이 줄고 처리 속도가 빨라진다.
현재 세계에서 가장 앞선 양산 기술은 3나노다.
차세대 첨단 반도체 부문에서 기술적 우위를 차지하는 기업은 지난해 매출 5천억달러 규모(660조원) 시장을 선점할 수 있다고 FT는 분석했다.
업계 소식통 2명에 따르면 TSMC는 이미 2나노 시제품 공정 테스트 결과를 애플과 엔비디아 등 일부 대형 고객에게 보여줬으며, 2025년 2나노 반도체 양산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이에 맞서 삼성전자는 엔비디아 등 대형 고객의 관심을 끌기 위해 2나노 시제품 가격 인하 버전을 제공하고 있다고 복수의 소식통이 전했다.
삼성은 2025년까지 2나노 반도체 양산을 시작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미국 헤지펀드 돌턴 인베스트먼트의 제임스 림 애널리스트는 "삼성은 2나노를 게임 체인저로 보고 있다"며 "그러나 사람들은 삼성이 TSMC보다 더 잘할지에 관해 회의적이다"라고 말했다.
현재 고급 파운드리 시장에서 TSMC의 점유율은 66%, 삼성은 25%다.
삼성은 작년에 3나노 반도체 대량생산을 시작했으며, 미국 퀄컴은 고급 스마트폰 프로세서에 삼성 2나노 반도체를 쓸 것으로 알려졌다.
전문가들은 삼성이 3나노 반도체를 가장 먼저 출시했지만, 수율에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소식통
첫 각료회의서 공공기관 계약·공무원 채용 전수조사 지시
비서실장에 여동생 임명 직전 '가족 공직 임명 금지' 규정 폐지
하비에르 밀레이 아르헨티나 대통령이 취임 후 첫 각료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공공기관 및 공직사회에 대한 강력한 개혁 의지를 밝혔다.
마누엘 아도르니 대통령실 대변인은 11일(현지시간) 유튜브로 생중계된 기자회견에서 "오늘 첫 각료회의 주제는 경제 붕괴였다"면서 "국가에서 관장하는 공공 부문에 대한 전체 목록을 조사하는 한편 국립대학을 포함한 전체 계약에 대한 검토에 즉각 착수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아도르니 대변인은 "어제(10일) 대통령이 취임식에서 나라에 돈이 없다고 말한 건 진부한 수사가 아니다"라면서 연간 인플레이션 140%대의 위기 상황임으로 재차 강조한 뒤 "변화의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는 것만큼은 분명하다"고 강조했다.
밀레이 정부는 또 공무원 채용과 관련한 전수조사에도 들어갔다.
아도르니 대변인은 "현재 국가 공무원은 대체로 유능하다"면서도 "우리가 동의하지 않는 것은 엽관제로, 정치적 배경을 이용해 고용된 사람은 국가에 아무런 기여도 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일하고 싶은 직원으로부터 생산성, 업무, 급여를 빼앗아 간다"고 지적했다.
그는 "일하는 사람들은 누구도 걱정할 필요가 없다"고 거듭 확언하며, 공무원 수 감축 우려로 동요하는 공직사회 달래기에 나서는 모습도 보였다.
이날 각료회의는 대통령궁(카사 로사다) 에바 페론 회의실에서 진행됐다고 현지 일간지인 라나시온은 보도했다.
에바 페론은 밀레이 대통령이 대선 후보 시절 저주를 퍼붓듯이 공격한 '페론주의'의 후안 도밍고 페론(1895∼1974) 전 대통령 부인 이름이다
민족주의 우파 정부 실각…새 총리에 '친EU' 투스크 지명
지난 10월 총선에서 야권 연합을 이끌며 8년 만에 정권 탈환에 성공한 도날트 프란치셰크 투스크(66) 전 총리가 11일(현지시간) 폴란드의 신임 총리로 확정됐다.
이날 오후 폴란드 하원에서 실시된 투스크 총리 후보에 대한 찬반 투표에서 찬성 248표, 반대 201표로 그의 총리 지명이 확정됐다.
앞서 같은 날 실시된 현 집권당이자 민족주의 우파 성향 법과정의당(PiS) 소속 마테우시 모라비에츠키 현 총리에 대한 신임 투표가 부결된 데 이은 후속 절차다.
투스크 신임 총리는 12일 새 내각을 발표한 뒤 하원 표결을 다시 한번 거칠 예정이지만, 야권 연합이 하원 과반을 차지하고 있는 만큼 무리 없이 마무리될 것으로 전망된다.
정권교체가 확실시된 셈이다.
투스크 총리는 13일 안제이 두다 폴란드 대통령의 새 정부 출범 선언과 함께 공식 취임하고, 14일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리는 EU 정상회의 참석으로 공식 일정을 시작할 전망이다.
야권 연합 측은 이미 총선 이후 회의를 거쳐 각료 분배 등 정부 구성 방안에 내부적으로 합의한 상태다.
투스크 총리는 PiS가 2015년 집권하기 직전인 2007∼2014년 총리를 역임했고 2014년부터 5년간 유럽연합(EU) 정상회의 상임의장을 맡았다.
8년 만에 두 번째 총리 임기를 시작하게 된 투스크는 지명 확정 후 연설에서 "우리는 함께 모든 것을 바로 잡을 것"이라며 "내일부터는 모두가 예외 없이 집에 있는 듯한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잘못된 것들을 바로잡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전 정부와 다른 행보를 하겠다는 점을 분명히 한 것으로 해석된다
투스크 총리 지명 및 PiS의 실각은 일찌감치 예견됐다.
PiS가 10월 총선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