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러독스경제학] (8) 전시효과..노택선 <청주대 교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 국가의 경제수준을 나타내는 국민총생산(GNP)은 어떤 측면에서 보느냐에
따라 생산 지출 분배 국민소득으로 달리 이야기 된다.
생산된 것은 같은 크기의 지출에 의해 구매되어야 하고 지출을 위해서는
같은 크기의 분배된 소득이 있어야 하기 때문에 이들 세가지 국민소득은
크기가 같아야 하며, 이것이 "국민소득삼면등가의 원칙"이라는 것이다.
국민소득을 지출의 측면에서 볼때 그 대표적인 구성항목은 가계의 소비
지출, 기업의 투자지출, 그리고 정부의 정부지출등이다.
이 가운데 소비지출은 전체의 약 60~70%를 차지하는 가장 중요한 항목이다.
경제학자들은 소비가 대체로 세금을 공제하고 난 이른바 가처분소득의
일부를 가지고 이루어 진다고 본다.
이를 수학적용어로 표시하면 소비는 가처분소득의 함수이며, 기울기는
1보다 작은 양수라고 한다.
이때 기울기는 한계소비성향이라고 부르고, 이것이 1보다 작다는 것은
가처분소득을 모두 소비하지는 않는다는 뜻이다.
그런데 경제학자들이 실증적으로 연구한 바에 따르면 소득이 증가할때
소비가 늘어나는 비율, 즉 한계소비성향이 장기와 단기에 있어서 다르다.
장기적으로 관찰해 볼때 소득이 증가하는데 대해 소비가 늘어나는 비율이
단기에서보다 크다는 것이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 소비행태에 관한 여러가지 이론이 나왔는데 이 가운데
듀젠베리는 소비행태에 있어서 전시효과가 있음을 주장했다.
즉 사람들은 소비행위를 함에 있어서 자신과 소득이 비슷한 그룹의 사람들
과 소비행태를 일치시키고자 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다시말해 남의 눈을 의식해서 자신의 소비를 결정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단기에 있어서는 자신의 결정으로 소비를 하지만 결국은 다른
사람들의 소비수준을 따라가게 되고 소비성향이 커지게 된다고 한다.
전시효과가 소비와 소득 사이의 관계를 제대로 설명할수 있는지에 관해서는
논란이 있지만, 이론의 타당성여부를 떠나서 많은 경우 과시욕이 소비를
결정하는 우리자신을 되돌아보게 하는 대목이다.
(한국경제신문 1994년 12월 2일자).
따라 생산 지출 분배 국민소득으로 달리 이야기 된다.
생산된 것은 같은 크기의 지출에 의해 구매되어야 하고 지출을 위해서는
같은 크기의 분배된 소득이 있어야 하기 때문에 이들 세가지 국민소득은
크기가 같아야 하며, 이것이 "국민소득삼면등가의 원칙"이라는 것이다.
국민소득을 지출의 측면에서 볼때 그 대표적인 구성항목은 가계의 소비
지출, 기업의 투자지출, 그리고 정부의 정부지출등이다.
이 가운데 소비지출은 전체의 약 60~70%를 차지하는 가장 중요한 항목이다.
경제학자들은 소비가 대체로 세금을 공제하고 난 이른바 가처분소득의
일부를 가지고 이루어 진다고 본다.
이를 수학적용어로 표시하면 소비는 가처분소득의 함수이며, 기울기는
1보다 작은 양수라고 한다.
이때 기울기는 한계소비성향이라고 부르고, 이것이 1보다 작다는 것은
가처분소득을 모두 소비하지는 않는다는 뜻이다.
그런데 경제학자들이 실증적으로 연구한 바에 따르면 소득이 증가할때
소비가 늘어나는 비율, 즉 한계소비성향이 장기와 단기에 있어서 다르다.
장기적으로 관찰해 볼때 소득이 증가하는데 대해 소비가 늘어나는 비율이
단기에서보다 크다는 것이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 소비행태에 관한 여러가지 이론이 나왔는데 이 가운데
듀젠베리는 소비행태에 있어서 전시효과가 있음을 주장했다.
즉 사람들은 소비행위를 함에 있어서 자신과 소득이 비슷한 그룹의 사람들
과 소비행태를 일치시키고자 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다시말해 남의 눈을 의식해서 자신의 소비를 결정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단기에 있어서는 자신의 결정으로 소비를 하지만 결국은 다른
사람들의 소비수준을 따라가게 되고 소비성향이 커지게 된다고 한다.
전시효과가 소비와 소득 사이의 관계를 제대로 설명할수 있는지에 관해서는
논란이 있지만, 이론의 타당성여부를 떠나서 많은 경우 과시욕이 소비를
결정하는 우리자신을 되돌아보게 하는 대목이다.
(한국경제신문 1994년 12월 2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