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문제가 거론될 때면 "연구"보다는 "주장"이 더 활개를 치는 것이
우리의 실정이다. 검증되지 않은 가설을 무기로 갑론을박하는 경우가
부지기수이다.

이같은 상황에서 임금문제를 실증적으로 접근한 저서가 나와 눈길을
끌고 있다.

노동문제 관련분야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는 한양대경제학과 김재원교수
(45)는 "한국의 임금구조와 임금정책"(한양대출판부간.718면)이라는
저서를 통해 임금문제에 대한 억설을 지양하고 논리적으로 설득하는
쪽을 취하고 있다.

"임금문제를 다루는 대부분의 책들이 "마이다스의 손"을 자처해 왔다고
봅니다. 만병통치약임을 내세웠다고나 할까요. 이책에서는 뭔가 새로운
것을 주장하지는 않습니다. 대신 상식이 타당한 것임을 실증적으로
뒷받침하려 했습니다"

김교수가 중점을 둔 대목은 한국의 임금수준이 경쟁상대국인 대만이나
싱가포르에 비해 결코 낮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1인당 GNP에서 큰 격차를
보이는 이유가 무엇인가를 분석하는 것이었다.

저자는 그 원인이 무엇보다 경제활동참가율,취업자중 피용자(유급고용자)
비율이 낮은데 기인한다고 분석한다.

비정규적 사업이나 서비스부문에 노동인구가 지나치게 몰려있는 것이
이같은 현상을 초래한다는 해석이다.

싱가포르와 임금지급체계를 비교한 것도 시선을 끈다. 싱가포르 경총
(SNEF)에서 실시한 설문자료를 한국에도 적용한 결과 성과급배분제가
소기의 목적을 달성했다고 답변한 사업체의 비율이 두배 가까운 차이를
보였다.

싱가포르의 경우 기업이 처한 경영일반 인사 노무상의 여건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성과급배분제를 채택하고 있으나 한국은 획일적인
운용을 하고있다.

그 결과 싱가포르기업의 74%가 이 제도가 종업원들의 동기유발에
일조했다고 본 반면 한국은 40%에 그쳤다.

충남대전 출신인 김교수는 연세대를 거쳐 미윌리엄스대에서 석사학위,
인디애나대에서 경제학박사학위를 받았으며 84년부터 한양대에서
노동경제학을 강의하고 있다.

< 윤성민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4년 10월 25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