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의 경제사정이 예상보다 빠른 속도로 좋아지고 있다.

때문에 경영혁신을 위한 다양한 기법들에 대한 관심도 1년전 이맘때에
비해 한층 그 열기가 식어가고 있다.

그러나 귀한 것은 세월에 크게 구애받지 않는다.

이런 점에서 본다면 다양한 혁신기법중에서도 벤치마킹(benchmarking)은
우리가 늘 관심있게 지켜보아야 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일류가 되기를 원하는 조직이나 개인은 벤치마킹을 생활화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미 국내에서도 벤치마킹에 대한 여러가지 번역서들이 출간된바
있다.

기존의 번역서들은 다분히 실용적인 목적으로 꾸며진 책들이었다.

그러나 이책은 기존의 벤치마킹에 대한 서적과 각종 논문들을 종합하여
벤치마킹을 집대성한 책이다. 달리 표현하면 교과서 성격을 지닌 고급
벤치마킹서라 할수 있을 것이다.

특히 충실한 참고문헌은 이 한권의 책만으로도 벤치마킹에 대한 기초로
부터 실천에 이르는 것을 가능하게 해줄 것이다.

이 책은 모두 15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장은 벤치마킹에 대한 정의,종류,그리고 효과를 다루고 있다.

제2장은 조직 전체의 빠른 학습과정과 혁신적인 채택과의 관계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

미국 기업의 품질향상을 위하여 1987년에 제정된 "맬콤 볼드리지상"
수상 기업의 가장 큰 특징이 끊임없이 배우는 기업이라는 점이 지적되고
있다.

제3장은 벤치마킹 목표와 성과를 측정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다루고
있다.

대표적인 것으로 이스트만 코닥사의 매트릭스 차트 방법과
하버드비즈니스대학의 카프랜과 노튼의 균형 스코어카드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제4장은 성공적인 벤치마킹의 비결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다.

잘 만들어진 성과 측정시스템 그리고 벤치마킹대상의 설정시스템을
들수 있다.

그밖에 비결로는 <>임원진의 지원 <>프로젝트팀에 대한 벤치마킹훈련
<>유용한 정보시스템 <>학습을 촉진하는 문화적인 관습,그리고 시간,
자금,유용한 도구와 같은 자원을 들수 있다.

그밖에 벤치마킹을 실전에 도입한 몇개회사의 사례를 소개하고있다.

모토로라의 5단계론,브리스톨 마이어의 7단계론,제록스의 12단계론
등이다.

제5장은 벤치마킹의 성공적인 적용을 위한 디자인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

지나치게 자료를 수집하는 준비단계에 자원을 배분하는 것이 실패의
첩경임을 지적하고 있다.

제6장은 벤치마킹을 조직에 통합하는 단계를 소개하고 있다.

7단계로 <>과거의 성공으로부터 배운다<> 출신에 관계없이 좋은 아이디어
를 배운다<>내부적인 최상의 사례를 개발한다<>업계평균 혹은 표준적인
사례에 발맞춘다<>업계의 최상책으로부터 리더십을 설정한다 <>업계에
관계없이 국가적인 최상의 사례를 목표로 한다 <>세계의 최상사례를
초월하거나 발맞춘다 등을 소개하고 있다.

제7장부터 11장까지는 벤치마킹과 다른 혁신기법들과의 통합조정
문제를 다루고 있다.

제7장은 리더십과 벤치마킹,제8장은 전략적 계획과 벤치마킹,제9장은
비즈니스 리엔지니어링과 벤치마킹,제10장은 시간경영과 벤치마킹,
제11장은 변화경영과 벤치마킹을 다루고 있다.

그밖에 제12장과 제13장은 각각 국제적인 벤치마킹과 공공부문에 대한
벤치마킹의 적용을 다루고 있다.

끝으로 제14장과 15장은 최상의 사례들에 대한 소개와 21세기 기업에서의
벤치마킹의 미래상을 다루고 있다.

특히 14장에서 벤치마킹의 목표인 최상사례로 IBM로체스터,이스트만 코닥,
AT&T,모토로라 등의 사례를 소개하고 있다.

우리는 경영혁신 기법에 대해서 지나친 환상과 기대를 가질 필요는
없다. 그러나 벤치마킹은 앞으로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런 맥락에서 보면 벤치마킹의 전체 모습을 조망한 이책은 우리에게
풍부한 정보와 지식을 가져다 줄것으로 믿는다.

(맥그로힐사간 3백12면 24.9 5달러)

공병호 <한국경제연구원 연구위원>

(한국경제신문 1994년 10월 11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