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실버타운] (7) 신공동주택..10% 노인전용 의무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지난 89년6월 도쿄 소재 일본사회사업대학에서 열렸던 "실버타운 정책의
전환을 위한 세미나"장.
이 대학 마에다 다이사쿠(전전대작) 사회사업연구소장은 "노인끼리 모여
사는 실버타운은 동양의 고령화사회에 맞는 바람직한 모델이 아니다"라고
단언했다.
마에다 교수가 내놓은 대안은 기존의 부모봉양주택과 실버타운을 합친
"신노인공동주택(실버 하우징)".아파트 10개 동중 한 동 정도는 노인전용
으로 지어 노인에게 특별분양해야 한다는 것이다.
노인전용아파트에는 30가구당1명의 개호인이 있고 휴게실 의무실등
공용시설도 충분히 갖춰진다.
아파트 단지내 "수프가 식지 않을 거리"에 부모자식이 함께 사는
신핵가족 형태에 맞는 주거시설이다.
일본 노인복지시설의 종류는 7가지.우선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국가가
보조하는 특별양호노인홈(2천4백곳 17만명 수용,우리나라 노인요양원격)
<>양호노인홈(9백개 6만7천명,"양로원에 해당)<>실비노인홈(2백군데
1만6천명)등이 있다.
또 중산층 이상을 받는 기업형 실버타운인 유료노인홈 2백44곳에는
2만4천명의 노인이 살고 있다.
마에다 교수가 말한 신노인공동주택은 현재 79개소가 시범운영되고
있다.
이밖에 동네 노인에게 취미오락활동등을 돕는 노인휴게소가 전국에
2천개소,온천관광지등에 의료휴양시설을 갖춘 노인휴양촌이 70개소가
있다.
신노인공동주택을 제외한 이들 노인복지시설의 총 상주노인은 27만9천명.
6 5세이상 노인인구(90년 인구센서스 기준) 1천4백81만명(전체인구의 12%)
중의 1.9%에 불과하다.
나머지는 노부부끼리(전체인구 세대의 21%)<>노인혼자("15%)<>자녀와
함께("10%) 살고 있다.
이 통계를 보면 일본 노인들은 실버타운등 노인복지시설에 들어가는
걸 아직도 여러 이유에서 꺼리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제 배우자가 먼저 사망하면 몇년간 혼자 살거나 자식들에게 붙어
있다가 거동이 불편해지면 마지막으로 실버타운을 찾는다.
그렇다고 3세대 동거형 아파트가 인기를 끈 것도 아니다.
지난 70년대말여기저기서 나왔지만 미분양됐다.
화장실이 3개일 정도로 내부 생활공간이 독립설계됐더라도 따로살기를
원하는 시대풍조가 이미 자리잡았기 때문이다.
일본유료노인홈협회가 입주자를 대상으로 입주이유를 조사한 결과에서도
이런 세태를 읽을 수 있다.
응답자의 59%는 보살펴줄 사람이 필요해서 <>30%가 "자식은 자식,부모는
부모"라는 생각에서<>나머지 11%가 직장과 가깝기 때문등으로 대답했다.
이같은 실정을 파악한 일본 정부는 89년6월 "신노인공동주택 지침"을
마련했다.
건설성은 이 지침에 따라 도시재개발 아파트지구내에 주택업체가 10%
이상을 노인전용아파트로 짓도록 택지분양및 융자에 각종 인센티브를
주고있다.
노인전용아파트는 노인특수설비 때문에 일반 아파트보다 건축비가
2배이상 든다.
요코하마시의 도시개발공사는 최근 건축중인 재개발아파트 3백가구중
1백20가구를 실버타운형 시설이 갖춰진 노인전용으로 배정, 노인들의
문의전화가 쇄도하고 있다.
일본 실버타운중 흑자를 내는 곳은 65% 정도다. 최근 부동산경기가
얼어붙어 신규업체들은 특히 입주자 모집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런 가운데 "실버타운=황금알을 낳는 사업"으로 생각했던 많은
기업체들이 신노인공동주택 사업으로 발빠르게 궤도수정을 하고 있다.
실버타운 전문가인 박재간 한국노인문제연구소장(714-9000)은
"우리나라에도 실버타운의 활성화와 함께 일본처럼 신노인공동주택
건축붐이 일도록정부가 업체에 택지우선분양등의 인센티브를 줘야
한다"고 말했다.
<도쿄=정구학 기자>
(한국경제신문 1994년 10월 7일자).
전환을 위한 세미나"장.
이 대학 마에다 다이사쿠(전전대작) 사회사업연구소장은 "노인끼리 모여
사는 실버타운은 동양의 고령화사회에 맞는 바람직한 모델이 아니다"라고
단언했다.
마에다 교수가 내놓은 대안은 기존의 부모봉양주택과 실버타운을 합친
"신노인공동주택(실버 하우징)".아파트 10개 동중 한 동 정도는 노인전용
으로 지어 노인에게 특별분양해야 한다는 것이다.
노인전용아파트에는 30가구당1명의 개호인이 있고 휴게실 의무실등
공용시설도 충분히 갖춰진다.
아파트 단지내 "수프가 식지 않을 거리"에 부모자식이 함께 사는
신핵가족 형태에 맞는 주거시설이다.
일본 노인복지시설의 종류는 7가지.우선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국가가
보조하는 특별양호노인홈(2천4백곳 17만명 수용,우리나라 노인요양원격)
<>양호노인홈(9백개 6만7천명,"양로원에 해당)<>실비노인홈(2백군데
1만6천명)등이 있다.
또 중산층 이상을 받는 기업형 실버타운인 유료노인홈 2백44곳에는
2만4천명의 노인이 살고 있다.
마에다 교수가 말한 신노인공동주택은 현재 79개소가 시범운영되고
있다.
이밖에 동네 노인에게 취미오락활동등을 돕는 노인휴게소가 전국에
2천개소,온천관광지등에 의료휴양시설을 갖춘 노인휴양촌이 70개소가
있다.
신노인공동주택을 제외한 이들 노인복지시설의 총 상주노인은 27만9천명.
6 5세이상 노인인구(90년 인구센서스 기준) 1천4백81만명(전체인구의 12%)
중의 1.9%에 불과하다.
나머지는 노부부끼리(전체인구 세대의 21%)<>노인혼자("15%)<>자녀와
함께("10%) 살고 있다.
이 통계를 보면 일본 노인들은 실버타운등 노인복지시설에 들어가는
걸 아직도 여러 이유에서 꺼리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제 배우자가 먼저 사망하면 몇년간 혼자 살거나 자식들에게 붙어
있다가 거동이 불편해지면 마지막으로 실버타운을 찾는다.
그렇다고 3세대 동거형 아파트가 인기를 끈 것도 아니다.
지난 70년대말여기저기서 나왔지만 미분양됐다.
화장실이 3개일 정도로 내부 생활공간이 독립설계됐더라도 따로살기를
원하는 시대풍조가 이미 자리잡았기 때문이다.
일본유료노인홈협회가 입주자를 대상으로 입주이유를 조사한 결과에서도
이런 세태를 읽을 수 있다.
응답자의 59%는 보살펴줄 사람이 필요해서 <>30%가 "자식은 자식,부모는
부모"라는 생각에서<>나머지 11%가 직장과 가깝기 때문등으로 대답했다.
이같은 실정을 파악한 일본 정부는 89년6월 "신노인공동주택 지침"을
마련했다.
건설성은 이 지침에 따라 도시재개발 아파트지구내에 주택업체가 10%
이상을 노인전용아파트로 짓도록 택지분양및 융자에 각종 인센티브를
주고있다.
노인전용아파트는 노인특수설비 때문에 일반 아파트보다 건축비가
2배이상 든다.
요코하마시의 도시개발공사는 최근 건축중인 재개발아파트 3백가구중
1백20가구를 실버타운형 시설이 갖춰진 노인전용으로 배정, 노인들의
문의전화가 쇄도하고 있다.
일본 실버타운중 흑자를 내는 곳은 65% 정도다. 최근 부동산경기가
얼어붙어 신규업체들은 특히 입주자 모집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런 가운데 "실버타운=황금알을 낳는 사업"으로 생각했던 많은
기업체들이 신노인공동주택 사업으로 발빠르게 궤도수정을 하고 있다.
실버타운 전문가인 박재간 한국노인문제연구소장(714-9000)은
"우리나라에도 실버타운의 활성화와 함께 일본처럼 신노인공동주택
건축붐이 일도록정부가 업체에 택지우선분양등의 인센티브를 줘야
한다"고 말했다.
<도쿄=정구학 기자>
(한국경제신문 1994년 10월 7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