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항만개발정책이 이렇게 갈팡질팡해서야 어떻게 기업이 믿고 따라가
겠습니까" 광양항 컨테이너전용부두 개발에 민자참여한 국내 4개 해운업체들
은 요즘 각사당 5백억원이상을 헛투자하게 됐다며 원망섞인 비난을 정부에
퍼붓고 있다.

"호남지역 경제의 희망인 광양항이 다시 가덕도항 개발로 물거품이 될 처지
에 놓였으니 이것도 결국 지역차별 정책의 결과 아닙니까" 지난 9일 동광양
에서 이 지역 상공인들이 개최한 "광양항개발에 따른 지역개발 전망 대토론
회"는 전날 발표된 가덕도항 개발계획으로 본래 취지와는 다른 대정부 성토
장으로 변했다.

이들 민자참여 기업및 호남지역 상공인들의 지적은 화주및 화물이 영남지방
에 편중돼 있는 우리나라 상황에서 가덕도항이 건설될 경우 광양항은 개점휴
업상태가 될것이 불을 보듯 뻔하다는게 이들 기업의 설명이다.

더우기 건설부 계획대로라면 가덕도항의 규모가 기존 부산항 3~4개 부두를
택지및 상업용지로 전환할 정도로 큰데 굳이 광양항으로 들어올 배들이 있겠
느냐는 반문이다.

그렇게 될 경우 97년 완공을 목표로 지난 87년부터 1조원에 가까운 공사비
를 들여 건설되고 있는 광양항은 가덕도를 포함한 부산항이 다시 포화상태가
될때까지 기다려야 한다는 얘기다.

당초 해운항만청이 광양항에 이들 기업의 민자를 유치할 당시 내놓은 논리
는 물동량은 급증하는데 부산항은 더이상 부두를 확장할 여지가 없기 때문에
광양항이 충분히 사업성이 있다는 것이었다.

가덕도항 개발은 없을 것이라는 설득이 곁들여 진것은 물론이다.

해항청은 지금 가덕도항 개발에 따른 "광양항 무용론" 비판제기에 대한 대
응논리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억지로 광양항 건설에 민자참여한 4개 해운업체는 "정부의 일관성없는 항만
정책으로 애꿎은 기업만 채권매입 5백억원과 부두관련 장비설치비 2백50억원
등 막대한 자금을 날리게 됐다"며 하소연하고 있다.

(한국경제신문 1994년 9월 14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