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스크바=김기웅특파원)한국과 러시아 양국이 동부시베리아의 야쿠티아
자치공화국내 가스전을 공동개발,천연가스(LNG)를 서울로 공급하는 대형프
로젝트가 3-4년에 걸친 예비및 정밀타당성조사를 거쳐 빠르면 오는98년부터
사업에 착공할 것으로 알려졌다.

김영삼대통령과 옐친대통령은 2일 열린 확대정상회담에서 양국이 1천만달
러씩을공동출자해 약 1년동안 예비타당성조사를 실시키로 합의한데 이어 가
능한한 빨리 사업을 추진키로 의견을 모았다고 김대통령을 수행중인 한 고
위 당국자가 3일 밝혔다.모두 1백50억-2백억달러가 소요되는 이 사업은 가
스전을 개발해 야쿠츠크-하바로프스크-블라디보스토크-원산-서울을 잇는 파
이프라인을 연결하고 장기적으로는 일본으로 까지 연장할 계획이다.

이 당국자는 "지난 92년 야쿠트가스전 개발을 위한 정부간 협력합의서가
서명됐으나 투자금액과 방법을 둘러싼 이견으로 사업추진이 지지부진했었
다"고 말하고 "그러나 옐친대통령이 확대정상회담에서 1천만달러씩의 예비
조사비 부담을 전격 제의해조사사업의 본격적인 추진이 합의됐다"고 밝혔다.
이 당국자는 "예비타당성조사는 한.러 양국이 별도의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야쿠티아공화국도 컨소시엄을 구성해 사업에 참여할 것"이라며 "1-2년간의
타당성 예비조사를 거쳐 경제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2년동안 정밀타당성 조
사를 실시한뒤 빠르면오는 98년부터 사업에 착수한다는 것이 한.러 양국의
기본목표"라고 설명했다.

한국은 유개공,가스공사,대우,삼성,유공등 11개사로 컨소시엄을 이미 구성
했으며 러시아와 야쿠티아도 컨소시엄구성을 마쳤기 때문에 이 사업의 파이
프라인이북한을 통과하면 통일기반조성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이 당국자는
말했다.정부는 모두 5억9천만t이 매장된 것으로 확인된 야쿠트 가스전 타당
성조사에 참여한데 이어 개발권을 확보할 수 있도록 러시아측과 협의하고
파이프라인의 북한통과를 위해 북한핵문제등이 해결되면 북한측과의 협의에
도 착수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