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양국이 멀티미디어분야에서 협력키로 한 것은 미래정보사회로
진입하는데 두나라가 공동보조를 취한다는 뜻이다. 또 미국 EU(유럽연합)
등 선진국의 정보패권주의에 두나라가 같이 대응한다는 의미도 있다.

한국은 우선 일본과의 협력을 통해 하드웨어부문에서 첨단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잇점을 얻을 수 있다. 멀티미디어는 컴퓨터 통신 가전 방송등
정보산업 전부문의 복합체이다.

이들 부문에서 한국은 일본의 한발 앞선 기술들을 활용할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 셈이다. 예컨대 CD-롬의 경우 우리나라에선 2배속까지 개발이
됐지만 일본은 이미 4배속 개발을 완료한 상태다.

한국은 현재 오는97년까지 정부와 업계가 모두 1,000억원을 시스템기기
개발 및 표준화에 투입할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이같은 멀티미디어
산업육성계획도 일본과의 협력관계 구축에 따라 보다 가속화될 전망이다.

멀티미디어 시장이 2010년 3조달러에 달할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양국간
협력으로 인한 상승효과는 기대이상으로 높아질 수도 있다.

또 멀티미디어의 핵심기술인 데이터저장 처리 압축및 재생기술등의
공동개발을 추진할 경우 여기서 파생되는 관련기술의 경쟁력 제고
효과도 적지 않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분석하고 있다.

한편 양국은 멀티미디어 분야의 표준화를 통해 아시아지역의 초고속
정보통신망구축에 초석을 다질 수 있게 됐다.

한일 양국은 이달초 통신장관회담에서 초고속통신망사업협력을 이미
합의한바 있다. 한국과 일본 사이에 정보고속도로를 닦는다는 계획이다.

멀티미디어 협력은 이 고속도로를 달릴 자동차를 공동으로 생산한다는
의미와 같다. 일본에겐 이를 통해 미국과 EU등 정보선진국들의 정보화
전략에 대응, 한국을 거점으로 아시아시장에서 기반을 다진다는 속셈도
깔려있다.

다만 멀티미디어 분야가 아직은 어느나라나 초보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서 앞으로 좀더 구체적인 협력관계가 어떻게 형성될지가
관심이다.

이번 통상장관회담에서 제시된 협력분야도 <>표준화 <>기업간 산업기술
촉진 및 지원방안강구 <>전문인력양성 <>정부규제완화및 관련제도개선등
원론적인 내용에 머물고 있다.

이들 협력분야에서 우리가 무엇을 얻고 어떤것을 일본에 줄수 있는가는
아직도 확실치 않은 상태다.

<차병석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