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기및 선박의 조난사고 발생시 인공위성을 통해 사고지점을 즉각 수신,
신속한 인명구조 작업을 펼칠 수 있는 위성조난통신시스템이 우리나라에서도
내년부텨 본격적인 가동에 들어간다.

28일 해운항만청에 따르면 정부는 최근 관계부처및 관련단체 실무자회의
에서 위성조난통신시스템의 국내 도입을 최종 결정하고 올해안에 대덕연구
단지내 항공우주연구소에 위성조난통신수신국(LUT)을 설치키로 했다.

이에따라 해항청은 올해안에 인공위성을 이용한 국제조난구조시스템인
코스파스-사르사트(COSPAS-SARSAT)기구에 가입함과 동시에 14억7천만원의
예산을 투입, 위성조난통신수신국(LUT)를 설치한뒤 내년 4월 시험가동을
거쳐 7월부터 본격 운영에 들어갈 계획이다.

위성조난통신시스템은 조난통신발신기를 부착한 항공기 또는 선박이 조난
을 당했을때 자동으로 구조신호가 인공위성으로 송신되고 위성은 이 신호를
받아 사고지점및 시각, 사고물체의 국적등 모든 자료를 판독해 지상 수신국
으로 알리게 된다.

현재 조난통신용 위성으로는 미국의 SARSAT와 러시아의 COSPAS가 활동하고
있으며 세계18개국에서 28개소의 지상수신국을 운영하고 있다.

지난 80년대초부터 실용화된 조난통신용 위성은 발전을 거듭, 현재는 사고
지점 오차를 반경 1마일 이내로 줄였다.

우리나라는 그동안 대부분의 조난사고를 무선전신에 의존, 전신기를 작동할
시간적 여유가 없는 급박한 사고나 통신송달 거리의 제한및 전파간섭등의
장애요인등이 발생할 경우 사고 지점을 몰라 신속한 구조가 어려웠었다.

해항청 관계자는 "지난해 아시아나 항공기 사고때도 생존자가 신고를
해올때까지 사고 지점을 몰라 바다를 수색하는등 전근대적 조난구조체제를
노출시킨바 있다"며 "위성조난통신시스템이 가동되면 우리나라 주변은 물론
지구상 어는곳에서든 조난상황을 정확히 체크할 수있게 된다"고 말했다.

정부는 위성조난통신수신국 설치와 함께 현재 국제선 항공기와 원양항행
선박에만 의무화하고 있는 조난통신발신기의 부착을 국내선 항공기와 연안
항행 선박에까지 확대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