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철이 아닌데도 동해안의 어획량이 늘어난 물오징어가 반입량 증가로
크게 떨어지고 있고 생태도 물량증가로 하락세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어획량이 감소한 병어와 갈치등은 소폭의 오름세를 나타내 대중
선어류가 어종에 따라 등락이 엇갈리고 있다.

횟감용 활어는 고가에따른 매기부진으로 보합세를 유지하고 있다.

채소류에서는 대파, 쪽파, 마늘등 조미채소류가 가격안정용 수입물량의
방출에도 불구, 수입품의 지속적인 방출이 되고 있지 않아 지난주에 이어
속등현상을 나타내고 있는 가운데 여타품목들은 등락현상을 보이고 있다.

과일류는 저장물량이 줄어든 배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고 시설재배되는
참외, 수박, 딸기등는 물량이 점증하고 있어 서서히 내림세를 보이고
있다.

잡곡류는 공급원활과 매기부진으로 일부품목을 제외하고는 전반적으로
보합세가 지속되고 있다.

<>노량진수산시장=구룡포를 중심으로 동해안의 어획량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 물오징어가 상품이 마리당 1천2백원선에 거래, 8백원이나 떨어졌고
산오징어도 마리당 1천원이 내려 5천원선에 팔리고 있다.

생태도 상품이 마리당 5백원이 내려 2천원의 낮은시세를 형성히고 있다.

그러나 물량이 감소한 갈치는 상품이 마리당 1천원이 되올라 1만4천원선에
냉동병어도 상품이 마리당 1천원이 뛰어 1만원선에 판매되고 있다.

이밖에 생물삼치가 마리당 4천원선, 냉동꽃게가 kg당 1만3천원선, 고등어
자반이 2마리당 3천원선, 청어가 마리당 6백원선의 보합세를 유지하고
있다.

횟감용 활어는 광어 자연산이 kg당 9만원선, 도다리가 kg당 5만원선,
흑도미 자연산이 kg당 4만원선, 우럭 자연산이 kg당 4만원선의 보합세를
지속하고 있다.

패류도 물량감소와 매기부진으로 시세변동없이 거래되고 있다.

<>가락동농산물시장=수입품의 지속적인 방출이 안되고 있는데다 최근
일기가 고루지 못해 반입량이 감소한 대파 상품이 한단에 8백원이 뛰어
3천3백원의 강세를 나타내고 있고 쪽파도 한단에 2백원이 오른 2천원에
거래되고 있다.

파종기를 앞둔 생강도 물량감소로 상품이 4백g당 2백원이 올라 2천5백원에
양파 역시 kg당 2백원이 상승한 1천2백원을 나타내고 있다.

마늘도 상품이 kg당 5백원이 오른 6천5백원선에 풋고추도 4백g당 5백원이
뛰어 2천5백원선에 팔리고 있다.

그러나 물량이 늘어난 양송이버섯이 kg당 5백원이 떨어진 4천5백원에
세러리도 kg당 5백원이 내려 2천원에 알타리무 역시 한단에 5백원이 하락해
2천5백원에 판매되고 있다.

<조재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