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경제신문과 대신증권이 공동주최하는 전국순회 증권투자강연회의 *
*첫 강연이 19일오후 대한상의 국제회의장에서 있었다. 이날 강연회의 *
*내용을 요약 정리했다. *
* *
* <편집자> *
********************************************************************

<>.신동규 << 재무부 증권정책과장 >>

자율화 개방화 국제화가 진전되면서 증시는 큰 변화를 겪고 있다. 중장기
증권정책은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데초점을 두고 있다.

주식시장은 3년간에 걸친 침체기를 벗어나 현재 회복기에 접어들었다고
본다. 이에따라 종래 수요개발에 치중했던 증시정책을 앞으로는 공급물량
확대에 초점을 맞출 방침이다.

올해 증시를 통해 공급할 물량은 지난해보다 33.3%인 6조원이 늘어난
24조원에 이를 것으로 보고있다. 2월말 현재 상장기업의 외국인 투자
한도가 1%정도 남아있어 이를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해야할 시점이라고
본다.

개방속도는 기본적으로 통화관리와 조화를 이뤄야하기에 현재 투자한도
확대의 폭과 시기는 결정되지 않았다.

그러나 빠르면 하반기 늦어도 내년초에는 결정될 것이다. 이밖에 정부는
중소기업의 원활한 자본 조달을 위한 정책을 시행하며 아울러 내부자거래
등 불공정 거래를 색출하는데 역점을 둘 것이다.

<>.이교원 << 대신경제연구소 이사 >>

주식시장에서 대세상승국면이라고 하는 표현은 아무때나 쓰는 것이
아니다. 지난 75~78년 85~89년과 같이 상당히 오랜기간동안 그리고,
상당한 폭 주가가 상승할때 쓰는 말이다.

현재 주식시장은 92년8월의 종합주가지수 459를 바닥으로 대세상승국면이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물론 대세상승국면은 경기회복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70년대나 80년대의
대세상승도 경기가 뒷받침되었기 때문에 나타났었다.

우리나라의 경기는 GNP성장률로 볼때 지난 92년 4.4분기에 2.8%를 바닥
으로 작년 3.4분기와 4.4분기에는 6.5%에 이르는 회복국면으로 전환되고
있다.

금년 1.4분기에도 7.0%정도의 성장이 이어지는 경기호황초기국면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침체상황을 보이고 있던 해외선진국들의 경기도 금년에는 2~3%의 성장이
예상되고 우리나라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중국을 포함한 동남아시아 각국
들도 6~9%의 고도성장이 예상된다. 이같은 세계 각국들의 경기회복세는
앞으로 2~3년동안 지속될 것이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현재의 경기회복세도
향후 2~3년동안은 지속되리라고 전망된다.

따라서 92년8월부터 시작된 우리나라 주식시장의 대세상승국면도 3~5년간
지속될수 있으리라고 전망된다.

문제는 이 상승국면에서의 투자전략이 중요하다고 생각되는데 그것은
경기회복의 핵심권에 있는 주식에 투자하는 것이 수익을 극대화할수 있는
첩경이기 때문이다.

70년대 경기회복의 핵심은 중동건설시장이었고 80년대의 경기회복은
세계적인 3저현상에 영향을 받은 수출의 증가였다.

이 때의 주식시장을 살펴보면 75~78년에는 종합주가지수가 2배정도
상승했는데 경기회복의 핵심 관련주인 중동건설시장 진출 업종이었던
건설업종은 무려 9배정도 주가가 상승했다.

또한 85~89년에는 종합주가지수가 6배정도 상승하는 대단한 상승국면의
시현 속에서 3저 핵심관련주인 전기전자 철강 운수장비 도소매등의 수출
관련업종들은 그보다 훨씬 더 큰 약8배의 주가상승률을 기록했다. 이수출
업종들을 금융으로 뒷받침하여 주었던 금융관련업종들도 증자와 맞물려
무려 11배의 주가상승이 있었다.

이처럼 대세상승기에는 경기회복의 핵심관련주에 장기투자하는 전략이
성공적인 투자의 지름길이라고 생각된다.

그러면 현재의 경기회복을 이끄는 핵심은 무엇인가. 그것은 내수가
아니라 해외부문,즉 수출의 증가에 있다고 하는점을 다 알고 있을 것이다.

수출통계를 보면 작년에 전기전자 철강 자동차 일반기계의 수출이 12~58%
의 높은 증가를 기록하고 있고 선박수주도 사상최대를 기록하고 있다.

바로 이 5대업종이 경기회복의 주역이며 대세상승의 핵심군이라고 할수
있다.

대세상승국면에서도 장이 쉬어가는 중기조정국면은 있게되는데 이것은
대부분의 경우 자율이 아닌 타율,즉 규제에 의하여 나타난다.

최근의 장세도 규제에 의한 중기조정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볼수
있는데 이와같은 규제는 시간이 지나면 완화되게 마련이며 장의 흐름은
다시 정상적 추세로 복귀되는 것이 일반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