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선진국에 비해 현저히 떨어지는 산업용 섬유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상반기중에 섬유소재개발 중장기계획을 수립, 부가가치가 높은 섬유 신소재
개발을 적극 추진할 방침이다. 8일 상공자원부에 따르면 우리나라 섬유산업
의 산업용 섬유비중은 20% 수준으로 미국의 60%,유럽연합(EU)의 52%, 일본의
57%에 비해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에 따라 범용품인 의류용 섬유의 경우 후발 개도국과 제품 및 품질 차별
화가 이뤄지지 않아 갈수록 경쟁력이 약화되고 있다,
상공부는 이에 따라 항공, 자동차용, 토목용 등 부가가치가 높은 고기능성
섬유소재개발을 서둘러 산업용 섬유산업의 비중을 오는 98년까지 선진국 수
준인 60%로 높이기 위한 섬유소재개발 중장기계획을 상반기중에 마련키로
했다. 상공부는 이를 위해 업계,학계 및 단체의 전문가로 실무추진팀을 구
성, 산.학.연 컨소시엄을 통해 분야별 연구개발을 추진키로 하고 98년까지
민간투자를 합해 4백10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