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공업제품중에서는 공업표준화법에 따른 KS마크 상품이 있다.
또 일본의 JIS규격등 각국에 각각 국내기준에 따른 품질보증 규격이 있다.
지금까지 국내 기업내부의 엄격한 품질관리나 정부의 까다로운 행정규제를
통화한 제품이면 해외에서도 우수 제품으로 인정되었었다. 그러나 앞으로도
ISO인증을 받지 않으면 EU지역에의 수출은 불가능해질 형편이고 정부조달의
입찰조건으로까지 확대될 모양이다. 국제화시대에 일방통행은 허용되지 않는
다는 뜻이라고나 할까.

ISO란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의 약자로
국제표준화기구라고 번역된다. 사무국으은 스위스의 제네바에 있지만
중심은 영국의 런던이고 모토는 "국경을 넘는 표준화". 말이 좋아서
국제표준화지 실상은 표준이란 자기네가 정해야 한다는 영국의
자존심이거나 구미중심사상이 아니냐는 비판이 없지 않다. 그러나
EU시장에 진출하려면 인증을 획득할수 밖에 없다.

ISO는 원래 영국군이나 미군이 물자를 구입할때 구매자의 입장에서
메이커측에게 제품품질의 기본이 되는 품질시스템을 요구한데서
시작되었다. 한마디로 지금까지의 기업내부에서의 품질관리와는 달리
기업외부와 구매자측의 요구라는데 큰 차이가 있다. 그래서 ISO규격은
처음에는 제품에 대해서만 적용되었었지만 점차로 경영시스템의
규격화에까지 이르게 되어 "ISO9000시리즈"라는 심사기준이 만들어졌다.

가령 공장의 환경관리는 어떻게 되어 있는가등 경영시스템에까지 제3자인
기관이 간여하게 되므로 간단하게 생각할 일이 아니다. 앞으로 BMW등
독일승요차처럼 폐차될 경우에 대비하여 재생할수 있는 부품은 사용하는
것마저 요구하게 된다면 우리 기업이 어느정도 적응하게 될런지
걱정스럽다.

공진청은 우리나라 ISO9000인증기관으로 한국표준협회부설 품질인증센터에
이어 생산기술원부설 품질평가센터를 승인했다. 얼마전까지만해도
외국인증기관에 의뢰해서 인증을 받았으므로 시간과 비용 그리고 노력이
과다하게 들었던 것이 사실이다. 앞으로는 시간과 비용이 크게 줄게
되었으므로 우리기업들이 국제화추세에 대응해서 다수 ISO인증을 획득하게
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