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행성출혈열과 쓰쓰가무시병등 가을철에 주로 발생하는 급성전염병에
대한 주의가 요망된다.

특히 유행성출혈열은 들이나 산 풀밭등에 있는 들쥐의 배설물에서
발생하는 바이러스에 접촉했을때 감염되는데 논밭일을 하는 농촌주민은
물론 성묘 단풍나들이등으로 야외에 나갈 기회가 생기는 도시주민들도 이
시기에는 주의해야 한다.

유행성출혈열은 잠복기가 보통 9일에서 35일정도이며 초기증상은 감기와
비슷하게 시작해 곧이어 열이 나고 오한 두통등의 전신증상이 나타난다.

대다수의 환자들은 대개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발열기 오한기 저혈압기
감뇨기 이뇨기를 거쳐 회복에 이르지만 사망률도 무려 7%에 달하는 무서운
전염병이 유행성출혈열이다.

또다른 가을철 급성전염병인 쓰쓰가무시병은 리케치아 쓰쓰가무시에 의해
발병하는 전염병으로 털진드기의 유충에 의해 사람이 물리면서 걸리게
된다. 감염후 6일에서 20일정도의 잠복기를 거친 후 급성으로 두통 발열
오한 발진 근육통등의 증상이 나타나고 1 크기의 피부반점이 생긴후 상처가
생긴다. 때로 기관지염 간질성 폐렴 심근염이 발생할수 있으며
수막염증세를 나타내기도 한다.

이같은 가을철전염병을 예방하려면 우선 이 전염병의 유행지역에 있는
산이나 풀밭에 가는 것을 피해야 하나 가야될 경우는 예방접종이 안전하다.

또 <>산이나 풀밭에서는 눕거나 잠자지 말것 <>수풀이나 잡초는 들쥐의
서식처이므로 집주위에 있으면 제거할것 <>잔디위에 침구나 옷을 말리지
말것 <>피부의 노출을 가능한 적게 할것 <>야외활동후 귀가하면 옷에 묻은
먼지를 털고 목욕할 것 <>벌레에 물린 자국이 있거나 야외활동을 한후 열이
나는듯하면 빨리 병원에 갈 것 등을 이행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