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은 한국을 비롯한 동아시아국가 경제의 대일본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동아시아국가와 일본사이에 적어도 경제적인 국경은 소멸되어 가고
있다는 판단을 내리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23일 상공자원부가 입수한 "동아시아: 경제통합과 미국의 대응"이라는 제
목의 보고서에 따르면 동아시아국가의 전체 수입중 일본으로부터의 수입이
차지하는 비중은 90년의 22.0%에서 91년에는 22.4%로 높아졌다.

이에 비해 미국으로부터의 수입비중은 90년의 15.5%에서 91년엔 15.1%로
낮아졌다.

하원 세입위원회의 요청으로 미국제무역위원회(ITC)가 작성한 이 보고서는
이지역에서 일본의 영향력 확대를 엿볼 수 있는 대목으로 일본은 90년에 총
대외원조의절반정도인 35억달러를 아시아지역에 지원한데 비해 미국은 같은
해 총해외원조의 6%인 5억6천만달러를 동아시아지역에 지원하는데 그쳤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이에 따라 일본이 최근 정부개발원조(ODA)를 제공하면서 의무적
인 일본상품 및 용역구입조건을 완화하고 있으나 아직도 주요 계약체결에
서 일본에 유리하게 작용하는 여러가지 요소가 있다고 평가했다.

이 보고서는 일본은 최근 종합적인 경제부흥 노력의 일환으로 다른 아시아
지역으로의 산업설비이전을 적극 장려하고 있으나 이같은 정책은 포괄적인
무역 원조 투자를 통해 이 지역의 천연자원과 원자재를 안정적으로 확보하
기 위한 장기전략의일환이라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