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차트의 양선은 종가가 시가보다 높게 마감될때 그려진다.
양선은 매수세력이 매도세력보다 클때 나타난다.
시간이 흐를수록 주가 상승이 이어지고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양선은 뿔(고가)과 꼬리(저가)가 달리면서 의미가 달라지며 또 양
선취치(주가수준)에 따라 해석에 주의가 요구된다.
뿔과 꼬리가 없는 양선은 "사자"세력이 강하다는 뜻이다.
몸통길이가 길면 길수록 매수세의 강도는 더욱 큰 것으로 볼 수있다.
이러한 양선은 주가의 추가 상승가능성을 짙게 예고한다.
별다른 재료가 돌출하지 않는한 투자심리가 그대로 이러질 것으로 보기때
문이다.
특히 주가가 하락 또는 횡보하고 있는 도중에 나타난 양선(도표의 A)은 일
단 주가흐름의 반전신호로 볼수 있다.
주가속락에 따른 기술적반등으로 양선이 생기도하여 가끔 속임수인 경우도
있다.
우리나라는 종목별 주가수준에 따라 하루 변동폭이 제한되는 상하한가제도
를 채택하고 있다.
따라서 개별종목의 양선길이는 주가수준에 따라 차이가 난다.
고주가종목의 양선길이가 저주가종목보다 길게 나타난다.
뿔달린 양선은 종가가 고가보다 낮으나 시가보다는 높을때 그려진다.
물론 저가는 시가와 같다.
상스아세가 유지되고는 있으나 시가에서 강하게 출발한 주가가 상승폭을
좁히며 장이 마감된 상황이다.
이는 주가상승에 따른 저항세력이 있음을 뜻한다.
경계및 차익매물이 나오고 있음을 말한다.
주가상승세가 이어지다가 뿔달린 양선(도표의 B)이 나타나면 오름세에 저
항세력이 형성되기 시작한 것으로 본다.
따라서 고가권에서의 뿔달린 양선은 천정권이 임박했다는 의미로 받아 들
일수 있다.
추격매수를 자제하는 한편 서서히 매도를 준비해야할 시점이다.
뿔의 길이가 길면 길수록 저항세력이 크다는 것은 당연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