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부 출범과 함께 온 나라안에 개혁의 바람이 불고 있으며 경제계도
예외는 아니다.

대기업들의 이익단체인 전경련도 신임 최종현회장의 제의로 지난 4일
17개그룹이 참여한 첫번째 기조실장회의를 열고 중소기업및 소비자와의
관계개선,대기업사이의 과당경쟁방지등의 문제에 대해 논의했다. 특히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에 연간 50억원을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으며
이밖에도 납품및 하도급부조리의 제거,기술및 경영지도등을 계획하고
있다고 한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은 가깝고도 먼 사이이다. 기업을 꾸려가기 위해서는
미우나 고우나 거래를 해야 하지만 서로 자기 몫을 챙기다 보면 다투는
일도 많다. 특히 경기가 나빠서 처지가 어려운 요즘같은 때에는 서로
도와야 한다는 명분은 말뿐이고 제앞가림하기 급급한 실정이다.

그럼에도 우리 경제의 뿌리이며 경제적 약자인 중소기업을 살려야 한다는
당위성에는 변함이 없다. 중소기업이 없이는 대기업도 살아남을수 없다는
것도 분명한 사실이다. 작년 한햇동안 쓰러진 중소기업의 수가 1,000개를
넘을정도로 중소기업 사정은 어려운데 현재 중소기업이 당면한 문제는
안정적인 판로확보와 자금난완화 2가지로 요약된다.

대기업은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드는 원천기술과 신소재,제품디자인및
설계기술등의 개발에 힘쓰고 중소기업은 이를 바탕으로 값싸고 품질좋은
부품을 만들어야 한다. 이 부품들이 대기업에서 조립.완성될때 비로소
우리 제품의 국제경쟁력이 강화될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기술및
경영지도,안정적인 주문량 확보가 절대로 필요하다.

물론 기아자동차나 삼성전자등이 협력업체들과 협의회를 만들어
기술교류나 품질관리 원자재의 공동구매및 공동수송등에서 협력하고 럭키가
폴리에틸렌 생산을 강원플라스틱에 넘기는등 몇몇 모범사례가 있기는 하다.
문제는 이같은 사례가 많지 않고 사업이양이나 기술협력을 해도 수익성이나
사업전망이 좋지 않거나 기술수준이 낮은 경우가 대부분이라는 점이다.

또다른 과제는 납품대금을 제날짜에 받는 일이다. "중소기업계열화
촉진법"에는 납품을 받은 날로 부터 60일안에 대금을 지급해야 한다고
규정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검사를 핑계로 2~3개월을 미룬뒤 90일짜리
어음을 주는 일이 많다. 이때문에 대금 회수기간이 5~6개월은 보통이고
심하면 1년도 걸리는 일이 있다. 물론 공정거래위원회에 제소할 수는
있으나거래관계가 끊어지기 때문에 웬만하면 참고 넘어가는 일이 많다는
사실을 고려할때 대기업의 자발적인 시정노력만이 문제해결의 지름길이라고
할수 있다.

"입술이 망하면 이가 시리다"는 옛말대로 중소기업및 소비자와의
관계개선은 시급하다. 아울러 회원사의 이익대변이라는 지금까지의
역할에서 나아가 농업,금융,교육등 많은 분야에서 나름대로 기여하겠다는
전경련의 새로운 움직임에 기대를 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