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경찰로부터 광운대 부정입학사건을 송치받은 검찰은 가급적 수
사를 확대하지 않고 대통령 취임식(25일) 직전인 23일경까지 관련자들
을 기소하기 위한 보강수사에 주력키로 했다.

경찰은 현재까지 의문점으로 남아 있는 <> 광운대가 처음으로 부정입
학을 시킨 시기 <> 92,93년도 이 학교부정합격자 중 명단 미확인자 25
명의 신원 <> 대학 관계자들의 대리시험 공모여부 및 다른 대학 부정입
학 알선혐의 등에 대해 별다른 수사의지를 보이지 않은 채 12일 사실상
수사를 종결졌다.

경찰은 또 광운대부정합격 규모를 추정할 수 있는 단서인 문화연구관
공사비(30억여원)의 출처 등에 대해서도 더이상 수사를 벌이지 않고 조
하희교무처장등 관련자들의 부인 진술만들은 채 관련 수사를 끝마쳤다.

이와함께 구속된 안기부직원 현진택씨가 광운대의 부정합격 비리를
알고 이를 악용, 학생을 직접 알선해 거액을 챙겼거나 비리묵인 대가
로 돈을 받았을 가능성이 큰 데도 소개비조로 6백만원을 받았다는 선
에서 수사를 사실상 종결했다.

경찰 또한 앞으로 수배자를 검거하면 신병을 곧 검찰로 넘겨 준다
는 방침을 세워놓고 있어 자칫 수사의 맥이 단절될 우려마저 낳고있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