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전부터 일본신문들은 "아시아"라는 고정면을 두고 있다.
아시아각국의 경제변화.사회현상을 파헤치고 아시아에서의 일본의 역할을
분석하는 기사들이 이면의 대부분을 메운다.

일본통산성은 6월초에 92년판 경제협력백서를 발간했다. 백서는 일본이
아시아지역의 발전을 위한 기본틀을 마련해야한다고 명시했다. 이백서는
"아시아의 과제와 일본의 경제협력-아시아를 세계경제성장의 핵으로"라는
부제를 달고 있다.

일본인에게 아시아는 더이상 "일본이외의 지역"이 아닌 것이다.
일본언론이나 일본정부는 심지어 아시아를 되찾아야할 자국영토의 일부로
치부하는 것같다.

아시아에서 미국세가 쇠퇴하자 PKO법등을 앞세워 정치적 영향력을
확대하려하고있다.

경제적으로는 자국을 정점으로하는 수직분업체계를 구축하려는 의도를
숨기지않고 있다. 일본-신흥공업국-아세안-아시아저개발국으로 이어지는
"경제고리"를 형성하자는 것이다.

경제고리를 만들기위해 일본정부는 아세안과 아시아저개발국가들에
개발자금명목으로 막대한 돈을 퍼붓고 있다. 작년만해도 아세안국가에
대한 일본의 지원금은 전체해외원조금의 20%에 육박했다.

일본기업들은 자국정부의 지원자금을 나침반으로 삼아 아시아지역에
대규모투자를 계속해왔다. 동남아지역이 일본의 생산기지로 변한 것은
이미 오래전의 일이다. 일본은 아세안이나 저개발국가들에 경제적으로는
이미 종주국의 위치로까지 부상했다.

일본은 지금 중국본토에 엄청난 규모의 자금을 쏟아넣고 있다.
천안문사태로 서방선진국들이 중국에 대한 자금제공을 거부했을때에도
일본만은 대중국투자를 게을리하지 않았다.

하지만 중국경제의 어느 구석을 봐도 일본경제권에 편입했다는 흔적을
찾을수는 없다. 오히려 아시아에서 일본경제권에 맞서 중국경제권을
창설하려는 움직임마저 구체화되고있다. 중국본토 대만 홍콩을 중심으로
대중화경제권이 태동되고 있다.

대륙의 천연자원 인적자원과 대만의 자금 기술,홍콩의 유통 금융을 십분
활용해서 경제블록을 만들겠다는 발상이다.

대중화경제권창설계획은 아직까지는 구상단계에 머물러 있다. 그렇지만
이들 3개국 모두 내심 강한 관심을 갖고 있어 결성분위기가 무르익고 있다.

대만은 경제블록형성에 장애가 되는 국내법개정작업에 이미 착수했다.
중국남부 광동성과 맞닿은 홍콩도 광동성과 경제장벽을 허문지 오래다.
홍콩의 자본이 광동의 자원을 찾아 물밀듯이 몰려간다. 지난해의 경우
홍콩이 중국에 투자한 금액은 전세계가 중국에 투자한 금액을 훨씬
웃돌았다고 한다.

대만과 중국은 정치적 적대관계가 완전히 청산된게 아닌가 여길 정도로
경제교류가 활발하다. 매일같이 수십명의 대만기업인들이 대만과 마주보는
복건성으로 비즈니스를 찾아나선다고한다.

대중화경제권구상은 같은 중국민족이라는 공동체의식에서 출발한다.
따라서 중국인경제권이 형성되면 어느 경제블록보다 응집력이 뛰어나고
배타성도 강할 것이다. 우리기업의 중국경제권진출도 그만큼 어려워질게
뻔하다.

중국이 언제까지 우리에게 경제협력의 손길을 뻗칠지는 미지수이다.
대륙인들은 대만 홍콩의 경제력으로도 중국경제가 충분히 성장할수 있다고
생각되면 우리기업 우리기업인들을 외면할 것이다.

중국과는 달리 한반도에서는 아직도 남북한사이에 경제교류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북한의 핵개발억제문제와 같은 정치 군사적 현안들이 남북한
경제교류를 가로막고 있는 것이다.

김달현북한부총리의 남한방문으로 국내기업인들의 남북간 경제교류요구도
한층 거세졌다고한다. 김부총리에 이어 최각규부총리도 앞으로 한달내에
북한을 방문하게된다.

남북한 경제부총리의 상호교환방문을 계기로 우리한민족도 중국인처럼
우리끼리만의 경제협력을 이룰수있는 방안을 모색하기를 바란다. 그래야만
일본이나 중국이 북한의 두만강개발계획에서 주도권을 빼앗지 않을까하는
우려도 사라질 것이다.

남한의 자금 기술과 북한의 노동력을 한데 묶어 한반도뿐만아니라 만주
연해주지역까지도 우리의 경제권으로 편입시키는 "한민족경제공동체"의
창설을 제의한다.